강화서 추가… 연천도 초비상
道, 통제초소 확대 설치 등
6개 핵심대책 추진 방역 총력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경기ㆍ인천 수도권으로 확산된 가운데 이틀 사이 확진 사례가 3건이나 발생하면서 ‘돼지 대란’이 걷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다. 청와대가 별도 TF를 구성하고 경기도가 6개 핵심 대책을 추진하는 등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불붙은 확산 흐름’을 멈출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연천군 미산면과 인천시 강화군(불은면, 양도면)의 양논농가에서 ASF 의심 신고가 접수, 이 중 강화군 불은면의 양돈농가 1곳에서 확진 사례가 확인됐다. 이로써 지난 17일 최초 발병 이후 국내에서는 확진 건수가 총 6건으로 늘어났다. 특히 이틀 사이 3건이나 몰리며(24일 2곳, 25일 1곳) 확산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다만 연천군 의심 신고 농가에 대해서는 이날 오후 9시 기준으로 정밀 분석이 진행 중이며, 결과는 이날 밤늦게 나올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방역 당국의 대책도 강화되고 있다. 경기도는 ▲방역 통제초소 확대 설치 ▲실ㆍ국장 지역전담 책임제 ▲방역ㆍ통제상황 안전감찰 ▲지역 군부대 협조 요청 ▲재난관리기금 확대 지원 ▲행사와 축제의 취소ㆍ연기ㆍ축소 등 6개 핵심 방역 대책을 추진한다. 도는 방역 통제초소 36곳과 거점소독시설 29곳을 운영하는 것은 물론 양돈농장 입구에 초소를 설치해 24시간 사람과 차량을 통제하기로 했다. 특히 이재명 도지사는 실ㆍ국장급 간부 공무원을 31개 시ㆍ군의 담당관으로 지정해 방역상황 관리, 현장 방역실태 점검, 애로사항 청취 등의 활동을 하도록 했다.
현장 통제초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지 않도록 도 차원의 현장관리반을 구성해 소독과 통제 상황 등을 24시간 상시 감찰한다. 사람 간 접촉에 의한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시ㆍ군에 행사나 축제의 취소ㆍ연기ㆍ축소를 요청했다. 이밖에 도는 임진강ㆍ한탄강 등 접경지 수계 권역에 대한 집중 소독을 중점관리지역 해제 때까지 벌이고, 제독ㆍ방제차량 및 공동방제단 등을 총동원해 농가에 대한 집중소독활동과 생석회 도포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 차원에서도 청와대가 대응 수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TF를 구성했다. 지난 24일 이호승 경제수석 주관으로 첫 회의를 가진 데 이어 정부로부터 수시로 대응 상황을 보고받으면서 매일 오전 회의를 열어 대응 방향을 점검할 예정이다.
여승구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