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실효성 논란을 빚고 있는 ‘육군 수도군단 내 민간개방형 생활체육시설 조성 사업’을 재추진(본보 10월17일자 13면)하는 가운데 시의회가 관련 예산을 대폭 삭감하는 철퇴를 내렸다.
시의회가 해당 사업에 대해 ‘낮은 시민 활용도’ 등 여전히 부정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 따른 결과로, 예산 확정 시 당초 계획에도 일부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7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지난 10월께 육군 수도군단 생활체육시설(민간개방형) 조성 사업을 재추진하기로 하고 2019년도 제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관련 예산 16억 원을 편성했다. 앞서 시는 지난 1월 수도군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해당 사업을 추진하려 했지만 시의회의 반대에 부딪혀 제동이 걸렸다. 당시 시의회는 해당 사업 추진에 대해 ‘실효성 부족’, ‘낮은 시민 활용도’, ‘혈세 낭비’ 등 부정적 입장을 보이며 사업 추진을 반대했다. 이후 시는 수도군단 등과 추가 협의를 거쳐 사업을 재추진하기로 하고 관련 예산을 3회 추경안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시의회는 최근 열린 제3차 추가경정예산안 예비심사에서 체육과가 편성한 수도군단 생활체육시설 조성 예산 16억 원 중 6억1천만 원을 대폭 삭감했다.
시의회가 ‘실효성 부족’, ‘낮은 시민 활용도’, ‘혈세 낭비’ 등 여전히 해당 사업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예산 확정 시 당초 계획에서 상당 부분 축소되는 등 일부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음경택 자유한국당 대표는 “복잡한 절차를 거치면서까지 군부대 내 체육시설을 이용할 시민이 과연 몇이나 될지 모르겠다. 사실상 군을 위한 시설”이라며 “군인을 위한 시설은 국방부에서 추진하면 되는 것인데 왜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련 예산 편성을 고집하고 있는지 이유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이어 “군을 위한 시설을 조성하면서 마치 시민을 위한 것처럼 포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도 “실효성 부족 등 부정적 요소를 감안, 예산이 과도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관련 예산 6억 원을 삭감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으로 확정 규모를 보고 추후 사업 계획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육군 수도군단 생활체육시설(민간개방형) 조성 사업은 시가 수도군단 내 운동장에 축구장(1면), 족구장(2면), 풋살장(2면), 육상트랙(4레인) 등 생활체육시설을 조성하고 수도군단이 이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사업이다. 이를 두고 시의회를 비롯한 일각에서는 이용절차 불편 등에 따른 낮은 시민 활용도, 혈세 낭비 등의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다. 안양=한상근ㆍ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