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새 총리 정세균 전 국회의장 지명…화합·통합의 ‘관리형’

문재인 정부의 제2대 국무총리 후보로 정세균 전 국회의장(69)이 최종 낙점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을 직접 찾아 차기 국무총리로 ‘경제통’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지명했다. 정 전 국회의장이 총리직에 오르면 사상 최초의 국회의장 출신 발탁이다. 이는 후반기 국정운영의 초점을 ‘경제’ ‘협치’에 맞추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 대표적인 ‘경제통’이자 국회와 협치를 부각할 수 있는 정 전 의장을 총리로 내세워 집권 중반기 공직사회의 분위기를 쇄신하고 국정운영 동력을 끌어올리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정 지명자는 노무현 정부 시절 산업자원부 장관까지 역임할 만큼 민주당 내 ‘경제통’으로 꼽히고, 국회의장 출신으로 국회와의 협치 의미를 부각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애초 청와대는 더불어민주당 중진 의원인 김진표 의원(수원 무)을 유력한 후임 총리로 검토했으나 김 의원 본인이 고사의 뜻을 밝힘에 따라 정 전 의장 쪽으로 무게추가 급속하게 이동, 결국 호남 출신의 총리 후보로 지명됐다.

하지만, 여야가 임시국회를 열고도 예산 부수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조차 열지 못하는 상황에서 총리 인사청문 절차가 제대로 진행될지도 관심사다. 국무총리 임명은 대법원장·헌법재판소장·감사원장·대법관과 함께 국회의 임명 동의가 필요하다.

국회법상 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하려면 국회의장과 여야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이 협의를 거쳐 인사청문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청문회 통과 가능성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노무현 정부 시절 산업자원부 장관으로 발탁됐을 때 검증을 한차례 거쳤기 때문이다. 다만, 정전 의장 지명이 발표되면서 입법부의 수장 출신 인사가 사실상 행정부의 ‘2인자’가 된다는 점에서 야권이 반발하고 있다. 총리는 다른 장관과는 달리 국회 표결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야당 의원의 반대 관문을 넘어야 한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