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에 한번 발효음식 조리법 전수
자녀들에겐 예절교육 ‘따뜻한 사랑’
“봉사 자체가 즐거움… 보람 느껴요”
“처음에는 재능기부를 통해 농촌 여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시작했던 봉사활동이 어느덧 이주여성들과 함께하면서 봉사활동의 한 축이 됐습니다.”
포천 생활개선회 신현숙 회장(57)은 이주여성들의 친정엄마로 불린다. 시간을 쪼개 2주에 한 번씩 이주여성들과 만나 장류를 통한 전통음식 조리법과 자녀들에게는 예절교육도 가르치는 등 이주여성들에 대한 그의 애틋한 사랑은 예사롭지 않다.
신 회장은 “낯선 나라에서 외롭게 생활하는 이주여성들의 정착은 쉽지 않다. 따뜻한 이웃이 그리울 때 우리의 전통 발효 음식과 장류 만드는 방식 등을 가르쳐 주며 그들과 함께하다 보니 애틋한 사랑이 피어났다”고 말한다.
신 회장은 10여 년 전 냉면집을 운영했다. 그의 꼼꼼한 성격과 손맛으로 식당은 늘 북적였다. 하지만, 그는 더 큰 꿈을 그리고자 냉면집을 접은 뒤 발효 식품 연구를 시작했다. 관계기관의 프로그램을 찾아다니며 고추장, 된장 담그는 법 등 발효 식품 연구에 매진했다.
손맛이 무르익을 무렵 그는 봉사에 뛰어들었다. “어려운 이웃을 돕는 것 자체로도 보람이 크지만, 봉사 자체가 즐거움이고, 좋은 일이 다른 사람에도 전파되는 해피 바이러스가 된다”는 그의 신념이 이주여성들을 향했다. 신 회장은 “우리와 만나고부터 이주여성들의 삶이 달라진 것을 얼굴에서 느낄 수 있다. 만남이 기다려질 정도로 무척 좋아한다”고 말한다.
100여 명의 이주여성은 수시로 만나기를 원하지만 2주에 한 번씩 밖에 만날 수 없는 것은 재정적 어려움 때문이다. “그나마 회원들의 재능과 각종 기부로 운영하기에 1년에 50만 원으로 가능했다”는 신 회장은 좀 더 적극적인 지원으로 그들과 늘 함께 있고 싶은 바람을 나타냈다. “이주여성들은 꿈을 갖고 낯선 나라에 왔다. 언어, 관습, 생활 등이 모두 낯설어 힘들어하는 그들에게 우리가 따뜻한 마음으로 다가간다면 그들의 삶의 질은 지금보다 더 나아지고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하는 신 회장의 애틋함에서 친정엄마의 마음이 읽혀진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