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필리핀에 남아 있는 5천177t 분량의 불법 수출 쓰레기마저 평택항으로 반입을 추진(본보 2019년 7월 8일자 6면)하는 가운데 평택지역 시민단체가 2차 오염을 우려하며 처리과정에 대한 감시활동 참여 보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환경단체는 우한폐렴이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데다 추가로 반입하는 쓰레기는 처음부터 컨테이너 상태로 야적돼 있던 1차 반입한 것과 달리 벌크상태로 오랜 시간 노출돼 있었던 것을 고려할 때 철저한 방역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30일 오후 평택시 비전2동 주민센터 소회의실에서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 평택시 환경농정국장, 평택시민환경연대 회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필리핀 추가반입 폐기물 처리방안’ 간담회가 열렸다.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서 환경부는 필리핀 민다나오섬에 남아 있는 5천177t의 잔류 폐기물 가운데 1천800여t은 제주도에서 반출하고 나머지 3천377t은 평택시 업체가 수출한 물량이라고 밝혔다.
또 잔류 쓰레기가 평택항으로 오는 것은 필리핀 민다나오 섬과 항로가 열린 국내항만은 평택항이 유일하기 때문에 불가피하다면서 제주도에서 반출한 폐기물을 우선 반입해 제주도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폐기물은 평택시에서 처리하되 소각 비용은 전액 국비로 한다고 덧붙였다.
잔류 쓰레기 반입은 1회에 컨테이너 50대 분량씩 나눠 다음 달 2일 첫 물량이 평택항에 들어온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반입 쓰레기에 대한 철저한 방역과 처리과정에 대한 감시활동 참여 보장을 주장했다. 우한폐렴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방역과 검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평택시민환경연대 한 관계자는 “1차로 반입될 때도 정부와 평택시가 철저한 방역과 감시활동 참여를 약속했으나 지키지 않았다”면서 “이번에도 환경부와 평택시가 이를 보장한다고 하지만 믿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환경단체와 추후 협의를 통해 이를 지켜나갈 방안을 찾을 것”이라며 “시민의 건강을 위해 방역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