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에 수출했던 불법 쓰레기의 평택항 반입과 관련 평택지역 환경단체가 2차 오염을 우려하며 처리 과정에 대한 감시 참여 보장을 요구(본보 지난 2일자 12면)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조속한 소각 폐기물 감시를 위한 ‘민관협력팀’ 구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평택시민환경연대는 10일 오후 평택시청 현관 앞에서 ‘평택시민 건강 위협하는 필리핀 불법폐기물 평택항 추가반입 규탄한다’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평택시민환경단체의 요구에 대한 평택시의 소통은 실종되었다”고 지적하고 평택시에 “반입된 불법 쓰레기의 조속한 소각, 폐기물 감시, 추가반입 반대를 위한 민관협력팀을 구성하자”고 주장했다.
민관협력팀 구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리핀 쓰레기 사건에 대한 위기대응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그러나 민관협력팀 제안에 대한 소통부재는 물론 이번 사건에 대한 시의 준비 부족은 민관 동반자의 시각이 땜질식 회의에서 드러났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지난해 1차 반입 처리 후 올해 2차 반입까지 시간이 충분했으나 ▲중간 환적 장소로 안전하고 완벽한 장소를 미리확보지 못한 점 ▲사전에 소각장 및 물류업체와 계약을 하고도 최근까지 공개하지 않은 점 ▲환경단체의 모니터링과 감시협조에 소극적 대응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평택시민환경연대는 시와 환경부에 필리핀 불법폐기물 추가반입 규탄, 제도적인 환경감시 활성화로 시민피해 예방, 쓰레기 안전 처리를 위한 방진창고 설치, 침출수 처리와 환경감시를 위한 예산 지원 등을 요구했다.
한편, 시와 환경부는 필리핀에서 추가 반입된 불법 수출 쓰레기 800t 물량을 소각처리하기 위해 선정한 운반업체(물류업체)의 적격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날부터 평택항에서 쓰레기가 담긴 컨테이너를 실어내는 등 본격 처리에 들어갔다.
시 관계자는 “쓰레기에 소독처리를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독약이 오수로 흘러가지 않도록 정화조를 새로 설치해 안전하게 처리하고 환경단체의 요구대로 시민환경감시단 2명에게 평택항에서 반출하는 단계부터 소각장에서 처리하는 과정까지 감시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