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코로나로 장애인 돌봄 소홀치 말아야

코로나19가 우리의 일상의 모습을 많이 바꾸어 놓았다. 이런 때일수록 질병관리본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조치와 발표를 믿고 기다리며 따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인 것 같다. 지금은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산된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는 스스로 자가격리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할 것이다.

지역 사회 전파와 전국적 확산이 진행되고 있어서 감염병 위기경보의 최상위인 심각 단계에 준하는 관리에 돌입한 때에 정부와 병원뿐만 아니라 지자체, 기업, 학교, 공공기관 들에서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런 조치들이 사회적 돌봄이 꼭 필요한 취약계층들이 소외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수원도 대부분의 복지관이 휴관하지만 취약계층을 위한 돌봄, 도시락 지원, 반찬지원, 활동지원 등 재가지원 서비스는 계속 지원되며, 취약계층을 위한 모니터링을 더 강화하여 취약계층의 복지 서비스는 더 강화하는 지원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감염병은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서 사회적 돌봄이 꼭 필요한 취약계층을 위한 대응 체계도 잘 마련되길 바란다.

지난 17일 정부 서울청사 앞에서 ‘코로나19 장애인 지원 및 대안 부재 복지부 규탄 기자회견’이 있었다. 코로나19로 활동지원서비스를 받는 장애인분이 확진자인 활동지원사와 같은 공간에 있었기 때문에 2주간 자가격리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활동지원사의 도움을 받는 중증장애인은 자가격리를 할 경우에는 돌봄을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된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는 자가격리로 활동지원자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가족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가족돌봄도 적절히 받기 어려운 경우에는 긴급하게 돌봄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렇게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들이 위해 감염병 발생 시에 안전하게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도 잘 갖추어지길 바란다. 코로나 19가 지역사회로 확산하면서 자가격리를 하는 사람이 늘어나면 돌봄을 꼭 필요한 장애인은 돌봄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 확진 환자가 머물던 시설은 폐쇄하고 접촉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자가 격리를 하게 되는데 장애인이나 장애인을 돌보던 시설이나 활동지원사가 자가격리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장애인들이 안전한 돌봄을 받지 못하고 방치되지 않도록 돌봄시스템을 잘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등 변종되는 바이러스가 앞으로도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감염병을 대비한 장애인의 돌봄과 서비스 체계도 잘 마련되길 바란다.

최영화 수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