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선거구 획정 놓고 "생활권, 지역정서 무시" vs "하나의 통합 신호탄" 엇갈린 평가

인구 상한선을 넘는 평택시을 선거구에 대한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의 평택 갑ㆍ을 선거구 조정안에 대해 “생활권과 지역정서를 무시한 결정”과 “3개 시ㆍ군 통합 이후 진정한 하나의 평택시로 가는 신호탄” 이라는 유권자들의 엇갈린 평가가 나오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선거구획정위)는 지난 3일 기존 평택시을 선거구에 포함돼 있던 비전1동을 갑선거구로 변경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4일 선거구획정위의 조정안이 알려지자 평택시 갑ㆍ을선거구에 출마한 예비후보는 물론 유권자인 시민들까지 이구동성으로 전혀 예상하지 못한 내용이라며 술렁였다.

특히, 21대 총선에 출마한 예비후보 대부분은 그동안 을선거구였던 청북읍, 오성읍, 고덕면 등 3개 읍ㆍ면을 갑선거구로 경계를 조정하는 안이 나올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선거운동을 펼쳐와 당혹감을 더했다.

미래통합당 유의동 의원의 경우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시청 앞 합정동 소재 지역사무소를 최근 비전1동으로 옮기고 선거체제로 전환했다. 비전1동을 중요한 전략지역으로 판단하고 집중 공략한다는 계획은 선거구획정위 안이 그대로 국회를 통과할 경우 무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유권자인 시민은 비전1동을 갑선거구로 경계조정하는 안에 대해 찬ㆍ반이 극명하게 갈렸다.

비전1동에 사는 A씨는 “갑선거구는 생활권이 송탄지역이 대부분인데 을선거구가 생활권인 우리를 갑선거구로 조정하는 것은 인구만 보고 결정한 탁상행정”이라며 “절대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용이동에 사는 B씨는 “1995년에 3개 시ㆍ군이 평택시로 통합되었지만 25년이 지난 현재도 아직 옛날 행정구역 중심의 소지역주의로 정서적 통합이 되지 않았다”면서 “선거구획정위의 이번 조정안은 진정으로 평택이 하나로 가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