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북면 비둘기낭 폭포 인근 위치
역사·지질·생태·문화자원 전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인기
세계지질공원 등재 마중물 역할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센터’가 경기도 공립 1종 박물관으로 탄생했다.
포천시는 지질공원을 주제로 한 국내 최초의 전문 박물관인 ‘한탄강 지질공원센터’가 경기도 박물관으로 재탄생됐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015년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받은 한탄강 지질공원은 경기도 지구과학교사연합회와 함께 수도권 학생들의 지질체험 학습교실 등을 운영해 왔으나 한탄강에 대한 체계적인 기록 및 자료 등을 전시하고 보관할 장소가 없어 그동안 방치되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포천시는 100억원(도비 67억원·시비 33억원)을 들여 영북면 대회산리 비둘기낭 폭포 인근에 한탄강의 지질과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한탄강 지질공원센터’를 지난해 4월 문을 열었다.
‘한탄강 지질공원센터’는 지하 1층, 지상 2층, 전체면적 2천840㎡ 규모로 지질공원을 주제로 한 국내 최초의 전문 박물관으로 한탄강의 역사, 고고, 지질, 생태, 문화자원 등을 총괄적으로 전시하고 있다.
전시관은 지질관, 지질문화관, 지질공원관 등 총 3개의 전시실로 구분돼 있으며, 4D라이딩영상관, 생태체험관, 수장고, 기획전시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학생들과 탐방객들의 학습탐구와 각종 체험을 할 수 있는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지질공원해설사와 체험강사를 배치해 전시관 해설, 지질케이크만들기, 화산체험, 팔찌 만들기 등 해설안내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체험할 수 있다.
박윤국 포천시장은 “한탄강 지질공원센터는 한탄강의 지질학적 가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지질공원 전시관으로 한탄강 지질공원이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되면 그 진가는 더 빛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은 대교천 현무암 협곡, 비둘기낭 폭포, 아우라지 베개용암 등 3개의 천연기념물과 화적연, 멍우리 주상절리 협곡 등 2개의 명승을 보유한 곳으로 총 11곳의 지질학적 특성이 있는 명소로 살아있는 지질교육의 현장으로 불린다. 현재는 코로나 19 확산방지를 위해 임시 휴관 중이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