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소재 한경대와 평택 소재 한국복지대 통합을 위해 MOU를 체결하고 설명회를 연 가운데(본보 4일자 8면), 통합에 반대하는 사회단체가 10만 시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선 통합 찬성론도 나오고 있어 찬반논란은 당분간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한경대-복지대 통합반대 대책추진위(위원장 이종규)는 10일 오전 지역 내 15개 사회단체들과 김보라 안성시장 등을 방문, 대학 통합을 논의했다. 이어 10만 시민 서명운동에 돌입하는 한편, 사회단체별로 ‘대학통합 반대’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제작, 15개 읍ㆍ면ㆍ동에 게시하는 방안에도 합의했다. 추진위는 향후 청와대에 대학 통합에 반대하는 국민청원도 올릴 방침이다. 추진위에는 여성단체와 새마을단체, 재향군인회, 맛길번영회 등 25개 사회단체들이 참여했다.
이런 가운데, 통합을 둘러싸고 일부 시민들이 찬성론을 제기하고, 한경대 학생들도 학교 인근에 찬성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있다.
통합에 찬성하는 시민들은 그동안 안성시와 지역 정치권이 한경대 학생들의 등하교 통학망 조성과 정주여건 개선 등에 나서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 2018년 폐교된 백성초교를 한경대를 위해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어야 하는데도 야구장으로 조성한 건 문제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학 통합이라는 큰 틀에서 한경대가 갖춘 인적ㆍ물적 자원을 활용한 경기도 거점 유일 국립대로 발전시키지 못했다는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시민 K씨(62)는 “무조건 반대하는 건 현실에 맞지 않다”며 “무엇이 지역에 이득이고 실익인지 판단, 부족한 점은 서로 보완해 가는 상생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경대는 대학 통합시 오는 2025년 기존 4천341명의 편제정원이 17.5% 늘어난 5천101명으로 760명이 늘고 세입도 29.6% 증가한 855억7천400만원에 비용도 64억3천만원이 절감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