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보건소가 증명서 발급 업무를 중단하면서, 주민들이 최고 6배 이상 비싼 병원용 증명서를 이용하고 있다.
1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현재 인천지역 내 보건소 10곳 중 7곳이 코로나19 업무 폭주로 보건증 발급 등의 관련 업무를 잠정 중단했다. 부평구, 동구, 강화군 등 3개 보건소는 지역 내 주민에게만 보건증을 발급하고 있다.
3개 군·구 외 지역주민은 기존에 3천원이면 발급받을 수 있던 보건증을, 병원에서 6배가 넘는 2만원을 지불하고 발급받아야 하는 실정이다.
남동구의 한 카페를 운영하는 A씨는 지난 5월 사업자등록에 필요한 보건증 발급을 위해 남동구 보건소를 찾았지만, 보건증 발급이 불가능하다는 안내를 받고 근처 병원에 가야 했다. A씨는 “보건증이 당장필요한 상황이라 어쩔 수 없이 근처 병원에서 발급받았다”며 “보건증에 2만원이 넘는 비용을 내는 건 너무 비싸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결핵 확인서도 마찬가지다. 보건소에서 결핵확인서를 발급받으려면 6천원만 내면 되지만, 일반 병원선 3배가 넘는 2만원을 내야 한다. 채용 신체검사서는 기존가격(2만1천원)보다 40%이상 비싼 3만원을 지불해야 한다.
한 구의 보건소 관계자는 “싼 가격에 진료받기를 원하는 노인분들이 불만을 표출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일선 보건소들은 이 같은 업무 중단이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보건소의 대다수 인원이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 투입해 있어 일반업무에 인원을 배분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또 선별진료소에 코로나19 검체검사를 받으려는 인원이 몰려 민원인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보건소 출입을 자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민원인들의 불편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나 코로나19의 재확산을 막는 게 우선 과제”라며 “시민의 금전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보건증 등을 발급받을 수 있는 병원으로 안내하겠다”고 했다.
강우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