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천으로 부동산 규제를 확대하면서 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 검단신도시, 검암역세권 등 인천의 주요 부동산·청약시장이 울상을 짓고 있다.
1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6·17 대책)을 통해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인천 전역을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번 6·17 대책에 따른 후폭풍이 벌써 인천의 주요 부동산·청약시장에 불어닥치고 있다.
이날 당첨자를 발표한 서구의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는 실수요자를 제외하고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쏟아질 기미를 보이고 있다. 당첨자 A씨는 “어렵게 당첨 받았다는 기쁨도 잠시, 정부가 갑자기 부동산 규제를 발표해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며 “부동산업계 사람들에게 계약을 포기할지 말지를 물어보고 서류 접수 여부 등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특히 3.3㎡당 2천230만원의 고분양가 논란을 일으킨 송도 6공구의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 3차’ 역시 이번 6·17 대책으로 분양에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부동산업계에서는 3.3㎡당 2천200만원대를 넘어선 분양가에 대해 실수요자의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고 있다. 곧 송도에서 랜드마크 수준의 아파트를 공개하고 분양에 나설 예정이던 GS건설도 이번 6·17 대책에 난감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함께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하면서 투기과열지구로 묶인 송도·청라 내 주택 거래는 물론, 한창 회복세를 보이던 영종의 주택 거래도 막힐 가능성이 크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의 제한 등으로 현금 거래가 아닌 이상 이들 지역의 주택을 거래하기는 어렵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분석이다.
송도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대표 B씨는 “이번 6·17 대책으로 인천의 부동산·청약시장이 경직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면서도 “무주택자로서 입주를 생각하는 실수요자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