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민·관·정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백지화’ 공동행동

박승원 광명시장(가운데)이 국회 소통관에서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백지화를 요구하는 결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가운데)이 국회 소통관에서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백지화를 요구하는 결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광명 시민의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반대 움직임이 범시민 운동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광명시 민·관·정이 공동 행동에 나섰다.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반대 공동대책위와 박승원 광명시장, 박성민 광명시의회 의장, 임오경(광명갑)·양기대(광명을) 국회의원 등은 지난달 31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원천 무효’를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통해 “국토부가 아무런 명분도, 타당성도 없는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을 강행하고 있다”며 “구로 구민 민원 해소를 위해 광명시민 희생을 강요하는 일방적인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차량기지는 광명 발전을 가로막고, 도덕산과 구름산 산림축을 훼손한다”며 “차량기지 주변 노온정수장 오염으로 수도권 시민 100만 명의 생명권이 위협받고, 시 한가운데 위치하여 미래 발전가능성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토부가 차량기지 이전 조건으로 제시한 20분 간격의 셔틀전동열차 운행은 광명시민이 원하는 대중교통수단이 아니다”라며 “국토부는 피해지역인 광명시를 패싱하고 오히려 총사업비와 이전 용지는 증액하고 확대하고 있다. 정확한 조사인지 모르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이번 기자회견을 기점으로 대규모 집회와 1인 시위, 범시민 서명운동, 정치·행정적 대응 등에 나선다고 밝혀 향후 국토부와 극심한 마찰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구로차량기지는 전동차 수리·점검소로 소음·진동, 도시 단절 등에 따른 구로구민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자 국토부가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지정과 함께 차량기지 지하화 등의 조건을 내세워 광명 이전을 추진했다. 하지만 보금자리지구는 LH 경영성 악화로 지정 4년 만에 해제됐고, 사업비 증가를 이유로 차량기지 지하화는 반영되지 않은 채 오는 2026년까지 차량기지 광명 이전계획이 강행되고 있다.

광명=김용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