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지선)는 오는 25일 ‘한국전쟁, 냉전체제의 형성과 평화체제의 모색’을 주제로 한국전쟁 70주년 기념 학술회의를 연다.
한국학중앙연구원ㆍ한국사연구회와 공동 개최한다.
회의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되는 올해 경색된 남북관계를 극복하고 평화체제를 만들어내기 위한 지혜가 절실한 시점에서 한반도 냉전질서의 역사적 기원으로 한국전쟁을 되돌아보며 냉전체제를 극복하고 평화체제를 모색하기 위한 학문적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1부 한국전쟁 전후 냉전체제의 형성과 냉전문화, 2부 전쟁의 경험과 전후의 재난 관리, 3부 냉전질서의 극복과 평화체제의 모색 등을 주제로 나눠 진행된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김동춘 연구소장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1부에선 한국전쟁을 전후로 한반도에서 냉전질서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그리고 그것이 한반도는 물론 미국과 유럽 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다룬다. 전남대 임종명ㆍ서울대 정용욱ㆍ경상대 신종훈 교수가 발표를 이어간다.
2부에선 한국전쟁이 가져온 국내적 사회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전후 질병과 보건위생의 역사를 탐구한다. 질병과 방역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기게 된 코로나시대를 맞아 사회적 기반이 무너진 한국전쟁 이후 질병과 방역체계의 형성에 관한 논의를 통해 한국전쟁의 영향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망해본다. 서울대 이동원ㆍ이화여대 한봉석 교수와 연세대 의학사연구소 김진혁 연구원이 발표를 맡았다.
3부에선 냉전질서 극복과 평화체제를 모색을 주제로 국내외에서 진행해 온 평화담론 및 평화체제 관련 논의와 평화사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의 의미를 살펴본다. 한국전쟁을 평화사 시각에서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를 경북대 방지원 교수, 전쟁 직후와 현재의 한반도를 둘러싼 평화담론 및 평화체제의 모색에 관해 강원대 이동기ㆍ인천가톨릭대 김보영 교수가 발표를 이어간다.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김동춘 연구소장은 “이번 학술회의는 교착상태에 있는 한반도의 평화문제를 역사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한반도 평화체제 정착을 위해 지혜를 모으는 학술적 논의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