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교산신도시 문화재 보존과 활용 등에 대해 민ㆍ관ㆍ공이 머리를 맞댄다.
역사문화 특화신도시 조성을 위해 민ㆍ관ㆍ공이 함께 머리를 맞댄 건 유례가 없는 사례다.
시는 지난 14일 시청 상황실에서 제1회 교산신도시 문화재 민ㆍ관ㆍ공 협의회를 열고 이처럼 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협의회는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교산지구 역사문화자원의 창의적 보존ㆍ활용시책 수립과 의견 수렴 및 신도시 조성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 등을 예방하고자 시민사회와 시행사, 중앙ㆍ지자체가 참여한 민관 거버넌스이다.
협의회에선 시행사인 LH와 하남도시공사가 교산지구 문화재 관련, 연구 진행사항과 교산지구 민속문화 연구용역 착수에 대해 브리핑과 위원 간 논의가 진행됐다.
시민사회에선 추후 문화재발굴조사의 철저한 시행과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를 시행사에 요구했다. 문화재청은 교산지구 문화재조사는 법률과 절차 등에 따라 엄정히 진행될 것이라며 양측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어 협의회의 회칙 확정, 자문위원 구성 등 협의회의 안착을 위한 현안사항들을 논의했다.
협의회에는 하남시와 문화재청, 하남시의회, LH, 경기주택도시공사, 하남도시공사, 하남문화원, 하남역사박물관, 하남문화유산지킴이시민위원회 등이 협의회 위원으로 참여했다.
김상호 시장은 “교산신도시 발표 이후 시민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된 문화재 보존문제에 대해 시와 시행사가 모두 공감해 첫번째 민ㆍ관ㆍ공 협의회를 열었다”며 “문화재가 많으면 신도시 개발에 실패한다는 우려가 있지만 협의회를 통해 충분히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