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와 (재)중부고고학연구소(원장 김권중)는 사적 제537호인 파주 덕진산성 발굴 결과 통일신라시대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외성문터(외성문이 있었던 자리)와 성벽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특히 외성문은 기존에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통일신라시대 처음 축조됐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장기간 사용됐음이 확인됐다.
파주시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성문의 구조와 외성의 변천과정을 비롯해 덕진산성의 경관변화 등을 규명할 수 있는 고고학적 자료를 축적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임진강 변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덕진산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이뤄져 있다. 내성은 지난 2012년부터 단계적으로 진행한 발굴조사 결과, 일찍이 고구려가 처음 성을 쌓은 이후 통일신라시대 대대적으로 보수해 사용했으며 조선시대까지 오랜 기간 주요 성곽기능을 수행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반면 외성에 대해선 조선시대 광해군 때 처음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성의 구조나 변화과정 등에 대해선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하지만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외성문터와 성벽을 정밀 발굴했고 이를 통해 그 실체가 드러났다.
이번 발굴조사 결과 외성문의 형태는 개거식(開据式:성벽 상부가 개방된 성문)으로 확인됐으며 제일 아래층에서 통일신라시대 기와편, 그 윗층에선 통일신라~조선시대 유물들이 출토됐다. 외성문과 연결된 외성벽은 최소 4차례 고쳐 쌓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곳에서도 통일신라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덕진산성은 우리 역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역사적 현장이다. 파주시는 덕진산성의 보존 및 정비를 위해 오랜 기간 노력해왔다”며 “내년에는 유적 종합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정비와 복원, 활용방안 등을 마련, 덕진산성의 진정성과 가치를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