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형 뉴딜 등 포스트 코로나 정책에 집중
인천시가 2021년도 예산안을 역대 최대인 11조9천399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4일 공감회의실에서 인천의 신성장 동력과 코로나19 극복에 중점을 둔 예산안을 마련해 인천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규모는 2020년 본예산 대비 6% 증액한 수치다.
이번 예산안은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인천형 뉴딜’과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방점이 찍혀있다. 분야별로 ‘디지털 뉴딜’에 2천818억원, ‘그린 뉴딜’에 2천500억원, ‘바이오 뉴딜’에 40억원, ‘휴먼 뉴딜’에 2천647억원을 각각 배정했다.
‘디지털 뉴딜’에서는 인천 DNA(Data, Network, AI) 혁신밸리 구축에 201억원을 투입해 첨단 디지털 산업을 육성한다. 개인용비행체(PAV) 산업과 도심항공교통(UAM) 시스템, 항공정비(MRO) 특화단지 조성에 36억원, 로봇·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에 30억원을 반영했다. 지역화페 인천이음(인천e음)의 캐시백 10% 확대 정책도 2021년까지 유지하기로 하고, 1천98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발행액을 2조5천억원에서 4조원까지 확대한다.
‘그린 뉴딜’에서는 친환경 차량 보급과 공공건축 그린리모델링에 1천683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시는 전기 승용차 4천939대, 화물차 988대, 이륜차 1천대를 공급한다. 또 수소차도 510대를 공급한다.
‘바이오 뉴딜’에는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의 원활한 운영과 바이오 혁신 클러스터 구축 등에 14억원을 투입한다. 바이오공정 센터를 통해 시는 2030년까지 약 1만5천명의 인력을 배출할 방침이다. 98%를 수입에 의존하는 바이오 원부자재 30개 품목에 대한 국산화를 위해 10개 기업을 지원한다.
‘휴먼 뉴딜’에는 결혼 이민자,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 지원 사업에 1천374억원을 배정했다. 또 청년 실업 해결과 중소기업 일자리 유지를 위해 156억원, 인천 복지기준선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해결에 121억원,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 인프라 구축에 832억원 등을 반영한 상태다.
특히 시는 4대 지역 현안 과제로는 도시 기본 기능 증진, 시민 안전 강화, 지역 경제 활력 제고, 원도심 활성화 등을 선정했다. 시는 친환경 자원순환, 상·하수도, 도로와 같이 도시의 기본 기능을 높이기 위해 총 5천839억원을 투입한다.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화재·재난·사고 등으로부터의 시민안전 강화를 위해 1천161억원을, 침체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천636억원, 원도심 활성화 사업 지속 추진과 성과 확산을 위해 4천171억원을 반영한다.
박 시장은 “2021년은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 경제가 재도약 할 중요한 시점”이라며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부응한 인천형 4대 뉴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4대 지역현안 해결에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겠다”고 했다.
한편, 인천시교육청도 2021학년도 예산으로 4조298억원을 편성했다. 코로나19 여파로 교육부의 보통교부금이 줄면서 올해 본예산 3조8천574억원보다 4.1% 감소했다. 시교육청은 교육 복지 지원 예산과 원격 수업 관련 정보화 지원 예산 등은 증액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