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어룡천 정비공사 민원에 일관성 없는 우왕좌왕 행정

포천시가 어룡동 어룡천 소하천 정비공사를 진행하면서 선형을 변경해 설치한 현장. 포천시가 주민과 공장주 민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다리방향을 바꾸는 등 일관성을 잃고 우왕좌왕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김두현기자
포천시가 어룡동 어룡천 소하천 정비공사를 진행하면서 선형을 변경해 설치한 현장. 포천시가 주민과 공장주 민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다리방향을 바꾸는 등 일관성을 잃고 우왕좌왕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김두현기자

포천시가 어룡동 어룡천 소하천을 정비하면서 주민과 공장주 민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지 않고 소하천의 다리방향을 변경하는 등 ‘우왕좌왕’ 행정으로 비난 받고 있다.

18일 포천시와 공장주 등에 따르면 시는 어룡동 어룡천 1.04㎞ 구간에 48억여원을 들여 소하천을 정비 중이다. 현재 50%의 공정률로 내년말 준공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어룡천 제방 건너편에 거주하는 A씨가 “제방을 잇는 위치가 대문과 마주하고 있어 불편하다. 다리방향을 틀어 시공해달라”고 요구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시는 타당성이 있다고 보고 설계를 변경, 다리 방향을 1m가량 틀어 시공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다리 건너편 공장주 B씨가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포천시가 어룡동 어룡천 소하천 정비공사를 진행하면서 어룡천에 설치한 콘크리트 박스. 포천시가 주민 민원으로 다리 방향을 바꿔 시공하는 바람에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두현기자
포천시가 어룡동 어룡천 소하천 정비공사를 진행하면서 어룡천에 설치한 콘크리트 박스. 포천시가 주민 민원으로 다리 방향을 바꿔 시공하는 바람에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두현기자

B씨는 “시가 A씨 말만 듣고 애초 설계대로 시공하지 않고 다리방향을 틀어 차가 공장에 진입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리 날개(다리 왼쪽과 오른쪽으로 곡선으로 펼쳐지는 부분)가 직각 구조로 설치돼 차 하부가 교각에 부딪히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며 “대안을 내놓지 않으면 공장 앞 도로(일부 공장부지)에 펜스를 설치하겠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문제는 또 있다. 다리 방향을 변경하면서 하천 물길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한 콘크리트 박스가 다리와 맞지 않아 자칫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현재 설치된 다리 방향으로 볼 때 콘크리트 박스와 일치하지 않음은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되고 있다. 결국 시가 종합적인 검토 없이 설계를 변경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토목시공 기술사 C씨는 “다리를 다시 시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왕 설치된 다리를 활용하기 위해선 다리 날개로 설치한 양쪽을 연결, 다리 폭을 넓히던지 아예 다리 폭을 넓히면 민원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시 관계자는 “다시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문제점을 해결하겠다”고 해명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