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상류에 조성된 안산갈대습지 주변에 대규모 고층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겨울철새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안산갈대습지 등 시화호 상류 인근을 조류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화호 철새를 연구하는 에코이엔지 생태연구소는 매년 겨울이면 큰고니, 흰뺨검둥오리 등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겨울철새 3만여마리가 안산갈대습지로 날아들어 겨울을 보내는 것으로 관측됐으나 주변에 고층 아파트단지가 본격적으로 들어서기 시작한 3년 전부터 개체수가 1만여마리로 줄어든 뒤 올해는 수백마리에 그치는 등 급감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안산갈대습지는 지난 1997년 착공한 지 8년여 만의 모습을 드러내 국내 최초로 인공습지로 조성됐으며 넓이는 103만8천여㎡ 규모다.
애초 K-water가 관리하던 안산갈대습지는 지난 2014년 안산ㆍ화성시로 분리 이관된 뒤 안산갈대습지와 화성비봉습지 등으로 구분돼 안산ㆍ화성시가 각각 관리하고 있다. 이후 안산갈대습지는 갈대 등 수생식물을 이용해 시화호로 유입되는 반월천 등 3개 지천 수질을 개선, 시화호 생태계를 회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안산갈대습지를 중심으로 안산ㆍ화성시 양편에 대규모 고층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는가 하면 대규모 고층 아파트단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불빛 등으로 겨울철새들의 서식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K-water 관할 당시에는 겨울철새들의 먹이활동 등을 보장하기 위해 겨울철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습지를 개방했으나 시가 운영하면서 개방시간을 30분 연장하면서 겨울철새들이 찾지 않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안산갈대습지 등지를 조류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시화호 지킴이 최종인씨는 “안산갈대습지 주변의 인위적인 개발로 겨울철새 개체수가 급감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겨울철새들이 편하게 쉴 곳이 없어 문제”라며 “이제라도 안산갈대습지 등지 조류보호구역 지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