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포천 SRF소각시설 증설허가…관련 업계도 우려 목소리

포천시와 주민들이 신평염색집단화단지 내 SRF(고형연료)소각시설 증설에 반발(본보 22일자 6면)하는 가운데 미가동 중인 소각시설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부 폐기물 처리업체들이 SRF 소각시설 허가증을 편법으로 임대 또는 거래하려 한다는 움직임이 있기 때문이다.

23일 포천시와 주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신평 염색집단화단지에 증기공급을 목적으로 9곳(애초 12곳 중 3곳은 폐업ㆍ철거)이 SRF소각시설허가를 받았다.

당시 SRF소각시설은 섬유제품 제조 활성화라는 입주요건이 있었지만, 뚜렷한 법적 규제가 없어 현재는 SRF소각이 운영 목적으로 전락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목적과도 배치된다.

이러다 보니 일부 폐기물 처리업체들 사이에선 SRF소각을 목적으로 미설치나 미가동 중인 SRF 소각시설을 편법으로 임대 또는 거래하려 한다는 소문이 꼬리를 물고 있다.

SRF는 단순소각 또는 매립되는 폐기물 중 자원 이용가치가 있는 가연성 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해 만든 연료제품이다. SRF 제조시설로 반입된 폐기물은 대부분 폐합성수지 및 생활폐기물로 최신 방지시설이 설치되지 않으면 소각과정에서 암을 유발하는 다이옥신과 미세먼지,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문제는 지난 2017년 4월부터 포천 집단에너지시설에서 장자일반산업단지와 신평염색집단화단지 내 입주 기업들에게 증기공급이 진행되고 있어 실제 증기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SRF소각시설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이다. 신평2리 주민들이 SRF소각시설을 반대하는 이유다.

신평리 주민 A씨는 “SRF소각시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에 증기를 공급, 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설치됐는데 SRF소각이 주목적으로 바뀌고 있어 대기오염이 우려된다”며 “이미 포천집단에너지시설이 증기를 공급하는만큼 SRF소각시설 보일러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SRF소각시설 허가권을 갖고 있는 B씨는 “포천 집단에너지시설이 공급하는 증기공급 단가가 저렴하고 지속적인 공급계약이 매듭지어져야 보일러 철거를 고민해 볼 수 있다”며 “일부 폐기물 처리업체들이 왕래하는 건 사실이지만 실제 거래된 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포천집단에너지시설은 현재 장자일반산업단지(신평3리) 입주 기업 49곳과 신평 염색집단화단지(신평2리) 입주 기업 20곳 중 18곳에 증기를 공급하고 있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