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코로나19 장기화에 인력난ㆍ경영난 호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용인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생산라인에 적신호가 켜졌다. 자원봉사자들과 장애인 근로자들의 발길이 끊겨 생산품 제작에 일손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13일 용인시 등에 따르면 장애인재활시설은 장애인들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하고 직업재활을 돕는 곳으로 보호작업장, 근로작업장, 장애인직업적응훈련시설 등으로 구분된다.

용인에는 보호작업장 5곳에서 직업훈련교사 51명과 장애인 근로자 140명 등이 근무 중이다. 보호작업장은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과 직무기능향상훈련 등 직업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한해가 지나면서 장애인재활시설 물품생산에 제동이 걸렸다.

앞서 보호작업장 측은 부족한 인력을 공급받기 위해 자원봉사자들을 지원받았으나 코로나19 예방을 이유로 자원봉사자 지원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중증장애인들 또한 자체적으로 출근을 자제하면서 인력은 더욱 부족해졌다.

상황이 이렇자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고자 직업훈련교사들의 업무강도를 높여 겨우 할당량을 채우고 있다.

실제로 A보호작업장은 매월 자원봉사자 30여명을 지원받아 물품을 생산해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자원봉사자들의 지원이 끊기자 직원훈련교사들은 납품기일을 맞추기 위해 추가근무를 이어가고 있다.

시설장을 비롯해 직업재활교사 등 8명과 장애인 근로자 19명이 근무하는 B보호작업장은 월평균 원두 200㎏가량을 생산해왔지만 지난해는 부족한 인력으로 생산량이 3분의 1로 급감했다. 이 때문에 외부 지원 없이 오로지 생산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시설 특성상 장애인 근로자들의 임금 압박에도 시달리고 있다.

B보호작업장 관계자는 “할 일은 많은데 일할 사람은 없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자 종사자들의 피로도 한계에 이르고 있다”며 “코로나19가 얼른 종식되든지 인력지원이 있던지 한가지라도 수반돼야 숨통이 트일 것 같다”고 토로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인력난ㆍ경영난 해소를 위해 장애인 생산품 공동판매시설인 유니르를 활용할 계획”이라며 “장애인 물품 판매처를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용인=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