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쓰레기 소각장 광역화 간담회…갈등만 더 키웠다

부천시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 계획 관련 시와 주민 간 견해차가 커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25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3일 대장동 소각장 현대화(광역화) 사업을 위한 주민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조효준 시 환경사업단장과 담당 공무원, 오정동 주민자치위원들을 비롯해 각 동 마을자치회 임원, 기업인 등이 참석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폐쇄에 따른 광역화가 불가피하다는 시와 광역화는 절대 안된다는 주민 간 의견이 팽팽히 맞서 갈등만 더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엄기철 오정동 주민자치위원장은 “지역주민이 반대하면 소각장 광역화를 추진하지 않을 것인가”라고 물었다. 조효준 단장은 이에 “오는 2029년 쓰레기대란이 일어나면 어떻게 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엄 위원장은 “부천 쓰레기만 치우면 절대로 쓰레기 대란이 발생하지 않는다”며 광역화를 반대했다. 현재의 대장동 소각장을 현대화하는 것은 반대하지 않는다는 취지였다.

그러자 조 단장은 2천800억원이 넘는 소각장 현대화 예산을 꺼냈다. 광역화가 추진되면 시의 지방비 부담이 없다는 논리였다. 광역화 비용은 인천시와 서울 강서구 등이 전액 부담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그동안 운영 중인 소각시설 내구연한 경과에 따른 안정성 문제와 오는 2025년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폐쇄 등으로 소각시설 증설이 필요하고, 경제ㆍ환경적 측면에서도 광역화 불가피성을 주장해왔다.

이에 반해 오정동 주민들은 외부쓰레기까지 처리하며 환경문제와 교통대란을 유발시킬 이유가 있느냐며 광역화에 반대해 왔다. 주민들은 이번 간담회를 보이콧하지 않고 참석한 건 무조건적인 반대가 아니라, 이성적인 판단을 하고 있음을 시에 알리기 위해서였다고 주장했다.

장경화 오정동 주민자치위 간사는 “시는 광역화를 밀어붙이고 있는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막겠다”며 “주민감사 청구 등을 통해 강력하게 대응을 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며 “주민간담회, 시민협의체 회의 등을 통해 의견을 듣고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부천=오세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