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으로 펼쳐지는 스마트 대피통로 개발

스마트 대피통로 터널 적용 개념도 상 벽면에 설치된 대피통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스마트 대피통로 터널 적용 개념도 상 벽면에 설치된 대피통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은 화재 등 비상상황에서 자동으로 펼쳐지는 스마트 대피통로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스마트 대피통로는 평상시 벽이나 천장에 접힌 상태로 보관하다 비상상황이 되면 자동으로 펼쳐져 승객이 연기로부터 분리된 통로로 안전하게 대피, 이동하는 시스템이다.

불에 타지 않는 특수 스크린 소재로 제작된 스마트 대피통로는 200℃에서도 1시간 이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사람들이 어느 곳에서든 통로 안쪽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20m 간격으로 출입문이 있고 통로 내부는 비상조명시설이 있어 대피와 이동 등을 돕는다. 화재 발생시 연기가 통로 안쪽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신선한 공기를 가압해 공급, 연기침투를 막아준다.

이에 따라 전동차가 터널 안에서 멈추거나 열차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승객의 안전을 지켜주는 통로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도시철도 신흥역에 시범 설치해 운영 중인 스마트 대피통로(왼쪽은 접힌 상태로 계단에 설치된 모습, 오른쪽은 비상상황에서 펼쳐진 통로 내부.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대전도시철도 신흥역에 시범 설치해 운영 중인 스마트 대피통로(왼쪽은 접힌 상태로 계단에 설치된 모습, 오른쪽은 비상상황에서 펼쳐진 통로 내부.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스마트 대피통로는 부품단위 시제품 검증을 마치고 지난해부터 대전도시철도공사와 협력, 대전도시철도 신흥역 구내에 시범 설치돼 운영 중이다.

연구책임자인 이덕희 철도연 책임연구원은 “펼쳐지는 대피통로는 벽에서 펼쳐지는 형태와 천장에서 펼쳐지는 형태, TV 상자에서 펼쳐지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며 “터널이나 지하철 환승 통로는 벽에서 펼쳐지는 형식이 적합하고 대합실이나 지하상가는 중앙 천장에서 펼쳐지는 방식, 공항이나 체육관ㆍ영화관 등 대공간은 상자에서 펼쳐지는 통로가 알맞다. 상자에서 펼쳐지는 통로는 간이 격리실이나 동선 구분용 통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에 타지 않으면서 접히는 소재를 적용한 경제적인 아이디어 기술로 더 발전시켜 펼쳐져 자율주행하는 구난 셔틀을 만들겠다”며 “지하 공간이 개발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스마트 대피통로는 GTX 대심도 철도나 대형 환승센터에서 승객의 안전을 지켜주는 핵심 기술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상자형 스마트 대피통로 시제품.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상자형 스마트 대피통로 시제품.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공

의왕=임진흥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