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이 주관사와 주민 갈등으로 난항(본보 12일자 10면)을 겪는 가운데 사업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사업은 민간기업과 지자체가 함께 발굴한 아이디어로 기존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로 주차장 공유사업과 공유차 플랫폼 등이 핵심이다.
4일 부천시와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 주관사, 삼정동 마을기업인 ‘상살미 사람들’ 등에 따르면 ‘상살미 사람들’은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에 참여했다.
이런 가운데, 예비사업 초기 거주자 우선 주차배정을 받은 주민과 공유시스템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다. 거주자 주차장을 우선 배정받지 못한 주민들은 주변의 아파트형공장인 테크노파크 주차장과 부천실내체육관 등지의 주차장을 이용토록 했다.
이 때문에 65세 이상이 70% 정도인 상살미 마을 현실과는 동떨어진, 실현 불가능한 사업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예비사업 기간인 지난 2019년 6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8개월간 체육관주차장은 월 1만5천원 주차료에 10면, 테크노파크 4단지와 3단지 등지는 각각 2만원과 2만5천원씩의 주차료에 9면, 거주자 우선주차는 0.46면 등으로 한달에 총 20여대 규모의 주차장이 공유됐다.
그러나 테크노파크는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30분까지만 사용할 수 있어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시간상 맞지 않다. 주차요금이 비싸고 거리도 멀어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사실상 불편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유차 플랫폼도 효과가 없다는 주장이다. 지난 2019년 11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3개월간 공유차 이용실적은 99건에 불과했다.
마을기업 ‘상살미 사람들’은 원거리 공유차 서비스가 아닌 마을 내 1~2㎞에서만 공유차를 이용하는 등 효과가 미미, 모빌리티 서비스 등의 이익금으로 마을기업 활성화 역시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상살미 사람들’ 관계자는 “지역에 최대한의 주차면을 만들어 주려는 노력은 하지 않고 사업 수행을 위해 주차단속을 강화, 주민들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며 “마을을 위한 스마트시티가 아닌, 기업을 위한 스마트시티 사업”이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시 관계자는 “주차장 1면 조성에 1억5천만원씩 투입되는 것을 감안하면 주차장 공유사업으로 30억원 정도의 효과를 거뒀다”며 “예비사업에서의 문제점과 해당 지역주민들이 염려하는 부분에 대해 충분하게 검토하고 대안을 마련,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