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기관 이전에 지역 술렁…포천시 등 발빠른 움직임

경기도의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 등 산하 기관 7개 이전발표에 경기북부지역이 술렁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포천시와 파주시, 김포시 등 일부 지자체들은 유치 선점을 위해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포천시는 1인 이상 제조업이 5천980여곳으로 경기북부 11개 시ㆍ군 가운데 가장 많아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경과원과 경기신보 유치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앞서 경과원ㆍ경기신보 북부지사가 포천 소흘읍에 있다는 점을 내세우면서 본격적인 유치 움직임을 보여왔다.

시는 이를 위해 오는 2023년 용정산단에 들어설 예정인 포천비즈니스센터 건물을 제공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시는 경과원 등이 유치되면 창업ㆍ벤처기업 지원, 수출ㆍ마케팅 지원과 특화산업 지원 등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포천상의를 중심으로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가구산업협동조합, 환편공업협동조합 등 20여 단체들이 기업들과 뜻을 모아 유치서명작업에 들어갔다.

이민형 포천상의 회장은 “제조업수가 경기북부에서 가장 많은 포천에 경과원이 오는 건 당연하다. 이를 위해 모든 기업인들이 서명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박윤국 포천시장도 “경과원과 경기신보 유치로 중소기업 지원이 조직화되면 국내외적으로 파괴력을 나타낼 수 있다”며 “반드시 유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파주시도 유치를 위해 분주하다. 시는 일단 경기북부 균형발전을 위해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와 함께 경기주택도시공사와 경과원, 경기신보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파주시는 이들 기관이 들어서면 LG디스플레이 등 LG클로스터와 국내 최대 규모의 파주출판국가산업단지 등을 주축으로 운정신도시 개발과 개성공단 가동, 통일경제특구 조성 등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이들 기관 유치를 위한 부지로 운정신도시 등을 비롯해 서영대, 두원공과대 등도 우선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반드시 3곳 이상은 유치한다는 방침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김포시도 가세했다. 김포시는 이전 기관들의 규모와 대응사항 등을 면밀히 검토한 뒤 시의회와 협의, 적극적인 유치에 나설 방침이다.

정하영 김포시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경기북부권과 접경지역 시ㆍ군들은 안보를 이유로 또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군사시설보호법, 수도권정비계획법, 개발제한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삼중사중의 중첩규제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의 이번 조치는 사람과 돈, 일자리와 기업이 집중되고 있는 남부권에 비해 발전의 단초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경기북부권과 접경지역에 새로운 활력이 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이전이 예정된 기관들은 경기연구원 경기신용보증재단,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농수산진흥원, 경기복지재단, 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등이다.

김두현ㆍ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