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6대 원장에 양은익 강릉원주대 토목공학과 교수(57)가 선임됐다. 양 원장은 지난달말 이사회를 통해 선임된 이후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최종 승인을 받아 지난달 22일 취임했다. 양 원장은 연세대 토목공학과와 KAIST 대학원,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 등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임연구원, 강릉 원주대 정교수, 산학협력단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장을 맡고 있다.
- 원장 취임을 축하한다
▲예상치 못한 막중한 임무를 맡게 돼 기쁨보다는 많은 부담을 안고 있다. 전임 원장(임영문 대진대 총장)이 경기대진TP를 잘 이끌어온 만큼 그 뒤를 이어 한 걸음 더 들어가 지역혁신의 싱크탱크 허브 기관으로, 경기북부지역 경제활성화 중심기관으로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
-경기대진TP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전략이 있다면
▲산학연관의 상호연결ㆍ융합발전 허브역할 수행을 위한 산학연관 플랫폼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대진대의 연구진 및 연구시설ㆍ장비 활용을 통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경기북부지역 대학들과 협력강화를 통해 경기북부 산업생태계 분석과 기업활성화방안, 지식기반사업 발전모델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경기북부지역 개발 및 발전 등을 위해 정부 및 공공기관, 지자체 등과 협력체계 구축도 중요한 과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춰 지역특색에 맞춘 스마트 팜, 스마트 축산, 스마트 공장 등 지식기반 첨단업종을 개발하고 지원하겠다. 기존 산업인 가구 및 섬유산업에 친환경 기술,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면 업그레이드된 4차산업 지식기반 산업화로 유도할 수 있다. 코로나19를 통해 산업분야에서 언택트(Untact)가 중요한만큼 언택트 디지털화 산업육성도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경기북부 균형발번도 중요한 과제인데
▲경기도 균형발전 및 경기북지역 활성화 견인을 위해 주력하겠다. 경기남부지역과 달리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기북부지역의 허브 역할이 돼 경기북부지역 활성화 중심이 될 수 있도록 관광과 도시재생사업 범위를 확대하고 조합 활성화 및 포럼 지원, 인재양성 교육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활성화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겠다.
경기대진TP를 TP 본연의 설립취지에 맞도록 내실화를 추진하고 스마트한 조직시스템도 구축해 효율적인 경영체계를 확립하겠다. 지원기관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기존보다 안전적인 예산확보방안에도 주력하겠다.
-4차 산업혁명을 한마디로 축약한다면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라고 판단한다. ESG는 4차산업과 연계돼 개별 기업을 넘어 자본시장과 국가의 성패를 좌우하는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경기도의 7개 공공기관 동북부권 이전 관련 포천에 가장 적합한 기관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다. 경과원은 경기대진TP 추진방향인 공학ㆍ경제ㆍ과학 등과 많은 부문에서 맥을 같이하고 있다. ‘기술닥터는 있는데 경영이 없다’는 말도 사라질 것이고,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할 것으로 보인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