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생각의 차이가 이렇게 다를까

인간만이 생각하기 때문에 만물의 영장이라 한다. 이 생각은 어디에서 나올까? 가슴 속에 있는 심장(心臟)에서 마음이 시작되기 때문에 마음 심(心)자를 쓴다. 이 심장에 마음이 저장되어 뇌의 전두엽 시상하부 제46부위에서 명령해 전체 신경으로 전달되면 언어가 되고, 언어가 행동으로 옮겨 습관화된다.

인간의 생각과 심리를 연구한 행동주의 심리학(Behavioristic Psychology)에 의하면 자극하면 반응한다는 자극-반응의 원리(S-R Theory)가 나왔다. 개를 실험한 내용인데, 개에게 먹이를 주려고 종을 울리면서 밥을 주다가 아무 때나 종을 울리면 개는 종소리를 듣고 침을 흘린다는 실험이다. 이것을 인간 교육에 적용해 학습자에게 자극될 수 있는 학습교재, 동기유발, 교수법을 활용하면 학습자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교육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자극의 방편으로 예습과 복습을 되풀이 반복하는 학습법이 나왔지만, 인간의 행동은 예측과 통제를 할 수 있으며 학습을 통해 수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본성이 아닌 양육(환경)의 중요성을 부각해 주목을 받았으며, 이것은 인간의 의식, 감정, 마음을 무시한다. 사람을 기계인형이나 로봇처럼 여기므로 인간의 창조성과 윤리적 행위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많은 비판을 받았다.

‘급진적 행동주의’를 정립한 스키너는 이 책에서 행동주의에 쏟아진 온갖 오해를 바로잡고 올바른 이해를 제공하려 했다. 스키너는 인간 행동의 원인을 내면에서 찾는 정신분석이나 인본주의 심리학을 비판하면서 외부 환경에서 원인을 찾았다. 인간과 환경은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영향을 끼친다. 인간은 환경을 통제하고 변화시킴으로써 자신과 타인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한편으로 환경이 인간에게 가하는 통제를 잘 알면 감정, 감각, 회상, 추상적 사고 같은 내적 과정도 해석할 수 있다. 스키너의 행동주의는 인간 행동을 과학에 입각해 총체적으로 규명하려 한 과학철학이자, 인간 존재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세계관이다.

그래서 이러한 학습법은 기억과 창의력에 한계가 있다는 것으로, 1957년 이후 인지주의 심리학(Cognitive Psychology)을 연구하여 인간의 생각은 뇌 속에 있는 의식의 흐름에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776년 영국의 아담 스미스가 국부론을 발간한다. 그로부터 100년이 못되어 독일의 칼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출간했다. 그 후 2권의 책이 세계를 갈라놓았다.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제시한 원리를 국가경영에 채택한 나라들은 자유롭고 부강한 나라들이 되었고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국가경영의 원리로 채택한 나라들은 가난한 전체주의 국가들이 되었다.

그런데 한반도는 1945년 일본의 압제에서 해방된 이후 타의에 의하여 남북으로 분단된 이후, 남한은 국부론 이론을 따라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건설하였고, 북한은 칼 마르크스의 이론을 따라 전체주의 공산주의를 채택하였다. 그 결과 남한은 자유롭고 풍요한 사회를 이루었고 북한은 가난하고 억압된 사회를 이루었다.

그래서 남한은 분단 75년 역사에서 체제 경쟁에서 승리하였으나 낭패한 북한이 핵무기를 만들어 판세를 바꾸어 보려고 하지만 잘못된 생각이다. 사용하지 못하는 핵무기는 국가발전과 국민의 행복한 삶을 창출함에 전혀 유익을 주지 못한다. 북한 동포들의 삶의 모습이 확실하고 분명하게 사람답게 살 수 있는 데 실패하였다. 생각의 차이가 이렇게 엄청난 결과를 초래한다. 진보주의자들은 시대를 분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손장진 우석대 명예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