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에 참여하는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 25곳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탄소중립 이행에 앞장서겠다는 비전을 선포했다.
환경부는 30일 화성시 모두누림문화센터에서 ‘스마트 그린도시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정애 환경부 장관, 서철모 화성시장, 송옥주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스마트 그린도시는 ‘도시 녹색 생태계 회복’을 위한 사업으로, 마을 규모에서 기후ㆍ환경 여건을 진단한 뒤 다양한 환경 분야 사업들을 추진해 친환경 공간을 구축한다.
앞서 지난해 12월 대상 지역 25곳이 선정됐으며, 경기도에서는 7개 지자체(화성, 부천, 성남, 안성, 안양, 양주, 평택)가 사업에 참여한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화성시에는 167억원(종합선도형), 나머지 6개 시에는 각 100억원(문제해결형)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화성시는 ▲시화호와 비봉습지 연결기능 강화를 통한 그린생태공간 활성화 ▲국내 최초 폐기물 거점 수거 지하화 및 포인트 재활용 쓰레기통 도입을 통한 녹색전환도시 조성 ▲IoT기반 미세먼지 감지 시스템 및 저감시설 설치로 청정대기 조성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정애 장관은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삶의 공간부터 친환경적으로 변해야 한다”며 “환경부도 스마트 그린도시가 단기 사업으로 그치지 않고, 대한민국 탄소 중립의 출발점이 돼 전 국토에 확산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철모 시장은 “이번 사업으로 주민 삶의 질은 높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기반도 다질 수 있을 것”이라며 “저탄소 녹색도시의 표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화성=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