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호 하남시장이 ‘서울~양평 고속도로’ 예비타당성 검토에 교산신도시 광역교통대책 및 경기동부 균형발전 등이 반영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김 시장은 지난 9일 세종시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열린 ‘서울~양평 고속도로’ 재정사업평가 분과위원회에 참석, 교산신도시 광역교통대책 및 경기동부 균형발전 등을 재정사업 평가기준에 반영할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김 시장을 비롯해 신동헌 광주시장, 정동균 양평군수 등이 참석했다.
회의는 서울~양평 고속도로 예비타당성 통과를 위해 재정, 경제성 분석 등을 심의하기 위한 것이다.
김 시장은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교산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에서 핵심 SOC사업”이라며 “국토부가 지난 2018년 고속도로 선시공을 약속했을 뿐만 아니라 상산곡동 기업이전지구 지정과 관련한 시급한 교통대책”이라고 강조했다.
또, “오는 2025년까지 이전해야 할 기업이 1천여 개가 넘는다”며 “상산곡IC 설치가 절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경기 동부에 위치한 하남시ㆍ광주시ㆍ양평군 세 개 지자체의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핵심 교통대책”이라며 “3개 지자체의 절박한 필요를 십분 고려해 경제성ㆍ균형발전ㆍ정책성 측면에서 평가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이들 3개 지자체 시장ㆍ군수는 지난 2월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에 ‘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 조기착수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한편 이 사업은 서울에서 양평을 잇는 연장 27km(4~6차로)로 신설하는 대형 국책사업으로, 전 구간 2033년 개통 예정이다.
특히 이 사업은 지난해 교산신도시 광역교통개선 대책에 반영, 감일~상사창IC까지의 추가 2차로 신설 부분 확장비용 분담과 오는 2028년 상사창IC까지 조기개통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