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계획 통보 후 편입 사실 알아
과도한 사유재산 침해 주장
광명~서울 고속도로 동부천IC구간 보상을 뒤늦게 통보받은 토지주들이 지하화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26일 토지주들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광명~서울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도로 구역(변경) 실시계획 변경·승인안을 고시했고, 한국부동산원 북부보상사업단 강서사업소는 지난 2월 동부천IC 등 부천 구간 편입토지 보상 공고에 이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보상대상은 부천시 춘의동 2공구 토지 29필지와 부천시 작동 3공구 68필지, 25만7천996㎡로 토지주는 187명에 달한다.
일부 토지주들은 약 1.1km 구간이 사전 의견 청취 없이 옥외로 노출되는 개착식 도로로 계획된 것을 보상계획 통보시 알았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 계획된 ‘개착식 도로 구역’에 건축될 주 변전소를 이전하고 지하화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A씨는“까치울역 인근 양호한 산림을 훼손하며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국토부와 시행사의 실시계획안을 수용할 수 없다”며 “이곳은 역곡 주택지구 지정 시에도 환경영향평가 결과 1등급 지역으로 분류돼 제척됐는데 1~2년 만에 개착식 도로 구간으로 설계된 것은 환경성 분석을 결과적으로 끼워 맞춘 것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B씨는 “개착식 도로 구역이 포함돼 사유지를 동·서로 양분시키는 것은 과도한 재산 침해”라며 “절대로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광명~서울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은 국가 간선도로망 남북 1축 보완과 광명, 부천, 양천, 구로지역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서남부지역 안산~평택~수원~광명~서울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사업이다.
광명시 가학동에서 서울시 강서구 방화동 구간으로 총 연장 20.2km, 폭 4~6차로, 총사업비 1조 6천69억원을 들여 서서울고속도로(주)가 사업시행자로 준공 후 기부채납(30년 운영) 방식으로 운영한다.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관계자는 “토지주들이 반발하는 구간은 주 변전소 설치를 위해 개착식 도로구역으로 처음부터 계획이 있었다”며 “토지주들이 보상계획 통보시 알게 된 것은 아니고 이미 실시계획 고시 전에 주민공람공고를 하는 등 이미 계획안이 포함됐다”고 해명했다.
부천=김종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