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건물 사이 도시풍으로 성남시민들이 추위에 떨었던 모란역 4번 출구 버스정류장이 온열좌석으로 따뜻해지고, 공기청정기에 등 여러 편의시설이 설치된 미래형 정류장으로 변신한다.
성남중앙초교를 비롯해 8개 초ㆍ중ㆍ고등학교가 몰려 있어 청소년 안전사고가 우려됐던 성호시장사거리에는 바닥 신호등과 LED 바닥유도등이 심어진 최첨단 횡단보도가 마련된다.
성남 주민들의 이동 편의와 안전 증진을 위한 스마트 버스정류장 10개소와 스마트 횡단보도 4개소가 성남 곳곳에 조성된다. 사업 대상지는 이용자 빈도수와 주변 환경을 고려해 선정됐다.
11일 성남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사업 실시설계 용역’을 발주했다. 이는 국토교통부 ‘2021년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사업’ 공모에 지난 3월 성남시가 최종 선정됨에 따른 것이다. 사업비는 국비 18억원을 지원받아 총 36억원 규모다.
우선 성남시여성비전센터와 남한산성입구, 모란역 4번출구 등 10개 버스정류장을 스마트 버스정류장으로 개설한다. 스마트 버스정류장은 냉난방기와 휠체어 대기공간 등 편의시설부터 지능형 CCTV와 비상호출 버튼으로 치안서비스까지 갖추게 된다.
이어 보행자 검지시스템과 차량정보 수집, 보행자 음성안내 보조장치 등 최첨단 기술이 들어간 스마트 횡단보도는 신구대사거리와 수내파출소 앞 삼거리, 성호시장사거리, 판교역 1번 출구 등 4곳에 설치된다.
아울러 주야간 순찰 비행하며 범죄를 예방하고 CCTV가 부족한 곳에서 교통사고를 모니터링하는 자율항행드론도 활용한다. 주요 항행위치는 태평 2ㆍ4동, 모란역, 야탑역, 서현역, 미금역 인근 반경 1㎞로 주로 상습 교통 체증, 교통사고 발생 우려 지역이다.
시는 해당 사업 용역 결과가 나는대로 사업을 추진, 연말께 모든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스마트도시 성남 조성을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설치 효과를 지켜보고 우선순위를 정한 뒤 차례대로 확대 설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성남=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