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투쟁 불사’ 파업 수위 높인다

9일 오전 광주시의 한 택배영업소에서 택배노조 소속이 아닌 택배기사가 홀로 작업을 하고 있다. 택배노조는 2차 사회적 합의 결렬로 이날부터 무기한 전면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윤원규기자<br>
9일 오전 광주시의 한 택배영업소에서 택배노조 소속이 아닌 택배기사가 홀로 작업을 하고 있다. 택배노조는 2차 사회적 합의 결렬로 이날부터 무기한 전면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윤원규기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이 무기한 전면 파업에 돌입(경기일보 9일자 7면)한 데 이어 강도 높은 투쟁을 예고했다.

택배노조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국토교통부가 물량 감소분에 대한 수수료 보전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고, 전 조합원 상경 투쟁을 벌이는 등 파업 수위를 높이겠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합의기구 출범 당시 노동시간 단축방안으로 물량감축이 제시됐고, 이에 따른 임금 감소분을 수수료 인상으로 보전하는 방식이 의제로 논의돼 왔다. 그러나 국토부는 수수료 보전 대책 등을 제외한 합의 초안을 제출, 의제를 뒤집었다는 게 대책위 입장이다.

택배노동자는 월 평균 502만원을 벌기 위해 평균 건당 수수료 750원짜리 물건을 하루 260개 이상 배송해야 한다. 월 단위로 환산하면 6천600개 이상이다. 과로사 방지를 위해 정부가 제시한 ‘주 평균 60시간 이내 노동’을 지키게 되면 시간당 30~40개를 배송한다는 가정 하에 약 10%의 임금 감소를 겪게 된다는 게 대책위의 설명이다. 특히 국토부는 이 같은 주 60시간 노동을 제시하며 명절은 예외로 해놓고 노동시간 상한조차 정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진경호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지난 30년간 택배 건당 수수료는 계속 하락했고, 노동자는 임금 보전을 위해 더 많은 물량을 배송해야 해 지금의 과로사가 발생했다”며 “수수료 인상을 요구하는 게 아니라 노동시간 단축에 따른 물량 감소분 만큼 보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