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 등 평택강 명칭변경에 반발…지역싸움으로 번지나

“안성을 무시하는 사고방식을 그냥 넘길 수 없다”, “안성시의 희생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

평택시의 안성천 명칭 변경에 안성시의회와 안성시 이ㆍ통장협의회 등이 반발하는 등 안성과 평택 간 지역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앞서 환경단체들은 평택시의 안성천 평택강 명칭 변경 선포에 철회를 요구(경기일보 23일자 10면)한 바 있다.

안성시의회 유광철 의원은 23일 열린 제195회 시의회 제1차 정례회를 통해 “평택시의 안성천 하류 명칭 변경은 이기적 편향과 안성시를 무시하는 자기중심적 사고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유 의원은 “평택시가 안성시를 무시, 안성이라는 명칭까지 내놓으라고 요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수십년 전부터 안성시는 평택시에 전화번호를 빼앗기고 평택 시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규제를 받는 등 피해를 보고 있으나 어떠한 보상이나 혜택을 받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 같은 상황에서 평택시장이 직접 나서 안성천 명칭을 평택강으로 바꾸는 선언문을 낭독한 건 안성 시민의 자존심을 뭉갰다”고 지적하면서 “평택시의 독선과 오만 등도 여실히 드러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성시 이ㆍ통장협의회도 평택시의 밀실행정을 규탄하고 나섰다.

안성시 이ㆍ통장협의회는 “조상대대로 물려온 역사가 있는 하천인 안성천 명칭을 바꾸라는 건 안성시를 무시하는 평택시의 자기중심적 사고”라면서 “지난 1983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안성시 원곡면과 공도면 5개리 토지와 인구 4천159명을 평택에 빼앗겼으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로 안성시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고 분개했다.

이어 이들은 “국토부, 환경부 등 중앙부처 대응을 통해 안성천 명칭이 변경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하는 등 안성시의 일방적인 희생 강요를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이에 대해 평택시 생태하천과 관계자는 “안성천 76㎞ 전체 명칭 변경을 추진하는 게 아니다”라며 “다만 내리문화공원 등 완료됐거나 현재 추진 중인 사업이 마무리되면 평택이 들어가는 명칭이 필요해 평택강으로 변경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안성시민 유진섭씨는 “안성시민의 입장에서는 참으로 분통이 터지는 일이 아닐 수 없다”며 “안성시가 얼마나 더 평택시에 양보하고 피해를 입어야하는지 도통 모르겠다. 원만한 해결이 있기를 기대해본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에 거주하는 서재열씨는 “평택의 입장에서 평택에 필요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면서 “평택시가 안성을 무시했다고, 안성이 평택을 무시했다기 보다 지역사회간 소통의 부족이라고 본다. 부디 양 지자체가 갈등을 풀고 협의점을 찾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안성ㆍ평택=박석원ㆍ정정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