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론] 용기 낸 어른아이

‘어른’이란 뭘까? 어려봤기에 자랑할 수 있는 사람일까? 필자는 요즘 <어린 왕자>를 다시 읽으며 돈, 명예와 허영 따위들에 필자의 순수함을 팔고 있지나 않은지 생각한다. 필자는 사람을 겉만 보고 판단을 한다.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서로에게 소중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무엇이든 중요한 것은 눈보다 마음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런 현실에서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

말레이시아의 여성 프로 포커 선수인 나탈리 테의 누적 상금액이 1억6천800만원이라 한다. 그녀는 어렸을 때 친구나 타인들과의 관계도 어려울 만큼 표정 변화가 없어 ‘로봇’이라 불릴 정도였단다. 그녀의 속내를 읽을 수 없는 ‘포커페이스’ 덕분에 순식간 세계무대에 진출했다. 어렸을 적 감정을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유망한 선수가 될 것이라는 예측을 한다. 과연 그게 단점이었을까?

필자가 뉴스를 접한다. 그런데 채널을 바꾼다. 소위 정치하는 사람들은 무슨 생각할까? 말뿐만 아니라 가슴으로 국민을 사랑하고 직접 행동하는 사람들? 필자의 눈에는 나 아니어도 되는 게 아니라 나여야만 한다는 개념들을 가진 사람들이 보인다. 그럴 때면 미래에 대해 한숨이 나온다. 대한민국에 ‘마하트마(위대한 영혼) 간디’라 칭할 수 있는 용기 있는 어른에게 내 방식의 요구 사항이 생겼다.

첫째, 한국 사람들은 당파를 떠나 사람들끼리 하나여야 한다. 나라의 최소 단위인 가정이 바로 서야 함은 물론 확대 가정인 대한민국을 생각하며 다른 이견을 조율하고 협력하는 가장으로서의 진지하고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한다.

둘째, 한국 사람들에게 무상보다는 새롭게 살아갈 수 있는 희망을 줬으면 한다. 무상은 안일함과 나태함 그리고 기대심리로 인해 내일은 없고 오늘만 살고자 하는 것이다. 선의의 자유경쟁을 유도해 삶을 더 풍족할 수 있도록 자긍심을 높여 줘야 한다. 그렇다고 보편적 복지 차원의 무상을 전면 없애자는 것이 아니다.

셋째, 대한민국의 전통인 충·효·예에 대한 교육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지금처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어디서나 접속 가능한 정보통신 환경)의 조건을 다 갖춘 시대. 공부하고 싶다면 마음을 다지고 열정만 불사르면 된다. 현재만이 아니라 과거에도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과 방황하는 어른들이 있었다. 핑곗거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제시해 줘야 한다.

넷째, 자급자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는 전문가들이 금융에 적극적인 관여를 해야 한다. 정부는 그들을 통해 대한민국을 살리겠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정신을 지배하는 것 중 정치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종교다. 인도의 독립을 이끈 간디지만 같은 힌두교인 총에 맞아 사망했다. 용기 있는 어른이 아니더라도 스스로 책임 의식을 갖고 다름의 관점에서 사상이나 생각을 이해했으면 한다.

김양옥 한국출산행복진흥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