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운영 예시 모둠좌석 금지인데 ㄷ자 형태로 독서토론도
- 수업 참여한 학급에서만 72% 감염…14명 추가 확진 판정
인천 인주초등학교가 대규모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하기 전 학생들에게 집단 실내 체육활동을 하도록 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수도권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확산하고 있었기에 교육 당국의 이 같은 실내 체육활동은 매우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인천시와 인천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미추홀구 인주초교에서 이날 14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재학생과 학부모 등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학생 9명과 학부모와 가족 등 5명이 추가로 확진판정을 받았다.
앞서 지난 5일 6학년 학생 2명이 처음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이들과 같은 반(1·2반)에서만 24명의 확진자가 무더기로 발생했다. 이날 추가 확진자까지 더한 인주초교의 누적 확진자는 다른 지역의 확진자 3명까지 포함해 모두 42명이다.
현재 방역당국은 단체 실내 체육활동과 독서토론수업 등을 인주초교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 당초 확진자가 나왔던 1·2반이 아닌 5반의 학생까지 이날 확진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6학년 전체로 코로나19가 퍼져나갔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학교 측은 지난 1일 5·6교시에 6학년 6개반 학생 138명을 대상으로 운동장에서 공굴리기, 강당에서 다트게임, 스탠드에서 활던지기 등의 체육활동을 했다. 방역당국은 이중 실내인 강당에서 이뤄진 다트게임이 코로나19 확산을 불러왔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방역당국은 당시 강당이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컨까지 켜 둬 공기 중에 비말 등이 떠다닐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많은 학생이 다트게임을 하면서 마스크 착용과 상관없이 접촉에 따른 2차 감염이 이뤄졌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데도 현재 교육부의 방역지침은 고작 ‘실내외 체육활동 할 때 2m 이상 충분한 공간 유지와 마스크를 착용하라’에 그치고 있다.
특히 당시엔 인천은 물론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증가했던 만큼 학교 측이 교육부의 방역 지침과 상관없이 실내 단체 체육활동은 하지 않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에서 23주차(5월30일~6월5일)에 1일 평균 16.4명이었던 지역 확진자 수가 26주차(6월20~26일)에 18.9명까지 늘어난 뒤 실내 체육활동이 있었던 27주차(6월27일~7월3일)에는 26명까지 급증했다.
이와 함께 1~2일 외부강사가 한 독서토론수업의 자리배치도 문제로 꼽힌다. 당시 학교 측은 ‘ㄷ’자 형태로 학생들이 모이는 형태의 자리배치를 했다. 하지만 교육부의 거리두기 실천을 위한 학교 운영 예시 등에는 학급 모둠좌석 배치를 금지하는 동시에 학생 간 최대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결국 이 외부강사도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고, 수업을 들은 1·2반에서만 무려 정원의 72%에 달하는 3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김경우 인제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체육 활동은 충분한 거리두기가 이뤄지지 않으면 마스크를 쓰더라도 들숨과 날숨을 크게 내쉬기 때문에 감염위험도가 높다”며 “이번 강당 체육활동은 코로나19 확산 가능성이 큰 사례”라고 했다. 이어 “학교가 학생 밀집도를 낮추고 되도록 2차 접촉이 없는 방법을 적용했어야 한다”며 “전면 등교를 앞두고 이번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 실내외 모든 체육활동 때 방역 지침을 지키도록 하고, 당분간 단체활동 금지 조치 등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어 “ㄷ자 형태의 자리 배치는 다시한번 점검하고 충분한 거리두기를 하겠다”며 “외부강사는 추가 방역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수도권 지역의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 개편을 1주일 더 연장해 오는 14일까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사적 모임은 지금처럼 4명까지만 허용하고, 유흥주점 등은 영업할 수 없으며 카페·식당 등은 오후 10시까지만 영업이 가능하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