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양주지역 저수지 곳곳에서 녹조현상이 심화하고 있지만, 당국은 미온적으로 대처, 빈축을 사고 있다.
15일 양주시와 한국농어촌공사 파주지사 등에 따르면 양주지역 저수지 13곳 중 원당저수지 등 농업용 저수지 6곳은 한국농어촌공사, 공업용수용인 광백저수지를 제외한 연곡저수지 등 소규모 저수지 6곳은 양주시가 관리 중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마른 장마와 폭염 등이 지속되면서 기온 상승으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저수지 곳곳에서 녹조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본보 취재 결과 남면 황방리 원당저수지의 경우 상류의 원당낚시터를 중심으로 저수지 물이 녹색 페인트를 풀어놓은 것처럼 짙은 녹색으로 변해 있었다.
이와 함께 저수지 곳곳에는 죽은 물고기들이 부패된 상태로 둥둥 떠다니고 있고, 일부 낚시꾼들이 상류를 피해 하류 제방쪽에서 낚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원당저수지의 녹조현상이 심화하자 한국농어촌공사 파주지사는 보관 중이던 녹조제거제 180ℓ 중 40ℓ를 낚시터 운영업자에게 지급, 녹조제거작업을 벌이도록 했으나 별다른 효과 없이 녹조는 더욱 짙어지고 있다.
녹조제거제 1ℓ는 1천배로 희석, 사용하게 돼있어 40ℓ는 4만ℓ를 살포한 것으로 가정할 때 녹조제거에 상당량을 투입했어도 효과를 거두지 못한 셈이다.
어둔동 남방리 남방저수지도 낚시터 인근을 중심으로 녹조현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온이 오르면 녹조현상이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우려돼 긴급 방제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농어촌공사 파주지사는 녹조제거를 위한 대대적인 방제작업 대신 저수지 낚시터 업주에게 녹조제거제를 지원, 방제작업을 하도록 하는 등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특히 저수지 오염원인 저수지 상류 관리는 양주시의 몫이라며 지자체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 파주지사 관계자는 “녹조제거제를 뿌린 양보다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녹조가 지속되는 것으로 녹조가 발생했다고 무한정 녹조제거제를 살포할 수는 없다”며 “원당저수지의 경우 양주시가 오염원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상류측 오염원 관리가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주시 관계자는 “시는 저수지 주변 축사 등 오염원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며 “농어촌공사가 녹조발생 책임을 지자체에 돌리는 건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