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도시철도 전동차 주요 부품인 베어링을 정비할 때 활용하는 친환경 자동세척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철도연에 따르면 대전도시철도공사는 오염물질 세척과정을 2단계로 진행하는데 8일 정도 소요된다.
먼저 산업용 세척기를 통해 스프레이방식으로 세척제를 고압 분사해 그리스 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다음 단계로 장시간 세척제에 담가 불린 뒤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정밀 세척한다.
현장에서 사용 중인 유기물질 기반의 세척제는 인체 유해성이 높아 보호장비를 착용해도 세척제 냄새로 작업에 어려움이 많고 일부 피부 접촉 시 피부 자극과 호흡기 이상 등 악영향을 준다.
이 같은 세척과정을 거쳐도 베어링에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 브러쉬와 압축공기 등을 통한 수작업으로 잔여 물질을 제거하고 있어 작업효율도 많이 떨어진다.
철도연은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체 유해성 및 냄새가 거의 없는 친환경 세척제를 이용해 전동차 베어링을 수작업 없이 빠른 시간 내 자동으로 세척하는 친환경 자동세척시스템을 개발했다.
오염된 베어링 세척은 4단계로 진행한다.
1단계는 세척제를 고압으로 분사해 세척하고 2단계는 초음파를 이용한 정밀세척, 3단계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헹굼 작업, 4단계는 열풍을 이용한 건조작업 등으로 마무리된다.
중소기업지원사업으로 개발한 자동세척시스템은 철도연과 대전도시철도공사, ㈜에코정우 등이 공동개발해 대전도시철도공사 판암기지에서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고 있다.
철도연은 이번 개발로 전동차 베어링 64개 기준 최대 8일 걸렸던 세척시간을 2일 이내로 단축, 베어링 정비 기간을 4분의 1로 줄일 수 있게 됐다.
친환경 세제를 사용해 기존 제품의 독한 냄새와 피부 자극 등의 문제도 최소화했다.
친환경 세제와 사용한 물 등은 미생물 필터를 이용해 그리스 등 오염물질만 분해ㆍ제거하고 나노기술을 적용한 폐수처리를 통해 다시 사용, 세척과정에서 폐수가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김용기 철도연 수석연구원은 “개발기술은 전동차의 오염된 베어링을 친환경적으로 자동 세척하는 시스템으로 현장검증 시험을 통해 기술 보완 후 기술이전ㆍ상용화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석윤 철도연 원장은 “도시철도 중정비작업 자동화와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 등을 생각한 친환경 기술로 정비과정 세척시간을 4분의 1로 줄여 작업효율을 크게 높였다”며 “철도현장 효율성을 높이고 고충을 해결하는 기술개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