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의 ‘아시아실리콘밸리 성남 프로젝트’가 내년이면 구체화된다.
시는 판교권역 특화 구축,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 성남형 바이오헬스벨트 등 세가지 사업을 집중 추진, 오는 2024년까지 프로젝트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주광호 성남시 아시아실리콘밸리담당관은 29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아시아실리콘밸리 성남 프로젝트’ 추진상황과 계획 등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판교를 게임콘텐츠의 메카로 도약시키는 ‘판교권역 특화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앞서 지난 4월 판교 제1ㆍ2테크노밸리와 정자동 킨스타워 일대 ‘성남 판교 게임ㆍ콘텐츠 특구’ 지정을 시작으로 삼평동 626번지 일대엔 총 485석 규모(주경기장 413석, 보조경기장 72석)의 ‘e-스포츠전용경기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오는 2024년 1월 개관이 목표다.
연말엔 수정구 시흥동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공공지식산업센터 ‘성남 글로벌 융합센터’가 준공된다. 이곳에선 입주기업 67곳에 기업지원 종합정보를 제공하고 전문가 컨설팅, 글로벌 마케팅과 상용화 등을 지원한다.
내년 말엔 판교 제1테크노밸리 중앙통로 750m 구간에 게임아트존, 게임역사광장, 레트로 게임장터 등 게임 테마 문화거리도 들어선다.
시는 자율주행 등 디지털 신산업 혁신을 일궈내는데도 주력한다.
자율주행 기본시험장(수정구 복정동 수질복원센터 내) 조성과 시뮬레이션 플랫폼(샤크) 구축을 통해 관련 기업이 자율주행 기술의 안전성과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안전한 자율주행을 위해 시 전역 도로에 대한 3차원 정밀지도도 제작, 내년 3월17일부터 기업이 기술개발과 영리사업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탄천 산책로, 탄천교, 사송교, 야탑교 등지에서 자율주행 도서관 로봇을 활용해 도서 대출 서비스도 내년 1월부터 실시한다.
이와 함께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차병원 등 기관 13곳과 바이오헬스 기업 145곳 간 산학연병관 혁신네트워크 ‘성남형 C&D 플랫폼’을 내년 3월까지 구축해 기업홍보, 기술교류회, 콘퍼런스 등 정보교류를 활성화한다.
현 정자동 주택전시관 부지는 연말 개발계획 수립용역을 완료, 바이오헬스 허브로 조성한다.
이를 주축으로 분당ㆍ야탑ㆍ하이테크 밸리를 거점화하고 산업자원을 연결해 최적의 첨단시설과 공공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등 기업, 대학, 병원, 기관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지원 인프라를 제공한다.
주광호 아시아실리콘밸리담당관은 “50년 전 성남시는 무허가 철거민 정착촌으로 시작했으나, 지금은 IT기업이 밀집된 대한민국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해 나가는 도시로 우뚝 서 있다”며 “사람이 중심이 되는 창조 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성남=문민석ㆍ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