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주민들이 정부의 공공택지 조성에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일방적인 토지수용으로 정든 고향을 떠날 수 없다는 것이다.
29일 양주시와 국토부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달 30일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14만호 규모의 3차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장흥면 삼하리 일원에 96만㎡ 규모의 공공택지(6천가구 수용) 조성을 추진 중이다.
국토부는 삼하리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데 이어 내년 8월 지구지정을 고시하고 지구계획을 수립, 오는 2024년 6월 지구계획 승인을 받은 뒤 같은해 9월부터 보상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삼하리 주민들은 ‘개발, 삼하리 주민은 원치 않는다’, ‘고향 땅을 떠나란 말이냐’, ‘그린벨트, 군사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박해 받은 50년’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들을 내걸고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은 어르신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고향땅을 떠날 수 없는 상황에서 평생 피땀 흘려 일군 농지와 집 등을 강제로 빼앗길 처지에 놓였다며 정부의 일방적인 계획 발표를 성토하고 있다.
인근 화훼단지 도ㆍ소매상들도 토지주로부터 임대받아 영업 중인데 토지가 수용되면 손실보상금도 제대로 받지 못한다며 인근에서 같은 지목 토지를 찾기도 쉽지 않다며 반대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사업부지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보상가가 턱없이 낮을 게 뻔한 상태에서 낮은 보상가로는 다른 지역에서 대토하거나 주택을 구입할 수 없다며 시세를 반영한 제대로 된 보상도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조만간 대책위를 꾸리고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김경식 삼하리 이장은 “삶의 터전을 잃는데도 보상금은 시세를 전혀 반영하지 못할 것이고 양도소득세로 40%를 물어야 할 판이다. 어르신들이 많아 고향을 떠날 수도 없는데 제대로 된 보상이라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양주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의견은 공람공고를 통해 수렴한 뒤 관계기관에 전달하겠다” 며 “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돼 지구지정 고시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주=이종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