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개발 의혹과 관련 성남도시개발공사 전문인력 부족 문제점이 제기됐다.
1조1천500억대의 대장동 개발사업이 지분율 1%의 자산관리회사 화천대유에 휘둘린 데는 성남도시개발공사의 허술한 인력구조가 한몫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30일 성남도시개발공사에 따르면 지난 2013년 9월 공사 설립 후 부동산 개발업무를 담당할 전문계약직(도시계획, 건축, 토목 등)을 차례로 선발해 현재 15명가량이 3개 개발처에서 근무 중이다.
성남시개발공사는 앞서 지난 2014년 1월 성남시설관리공단과 통합해 정원 974명으로 개발 전문직원 비율은 1.6%에 불과하다.
반면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전체 직원 713명 중 개발업무 직원 비율은 80% 가까이 된다.
지난 2015년 3월 민간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대장동 개발을 담당한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사업1처도 김모 처장을 포함해 4명이 고작이었다.
이에 따라 자체 사업을 할 수 없었던 성남도시개발공사는 민간사업자와 함께 특수목적법인인 ‘성남의뜰’을 설립했고, 여기에 자산관리회사로 화천대유가 들어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화천대유는 부동산개발 전문가, 회계사, 변호사 등 2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지자체의 도시개발공사 관계자는 “성남도시개발공사의 경우 전문인력이 부족한데다 경험도 일천해 민간사업자를 끌어들이는 공영개발을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결국 성남도시개발공사 설립 이전부터 대장동 사정을 꿰뚫고 있던 화천대유가 민간사업자를 이끌며 사업을 주도한 구조가 됐다”고 말했다.
한 부동산개발 시행업체 관계자는 “성남도시개발공사가 무리하게 공영 개발사업을 추진하며 화천대유가 주도한 민간사업자를 선정했는데 화천대유와 관계된 인물들이 공사 내부에서 조력자 역할을 한 셈이 됐다”며 “통상적인 부동산개발에서 있을 수 없는 사업 구조와 이익 배당이 어느 정도 이해된다”고 말했다.
성남=진명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