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 로컬푸드사업 정상화해법 제시에도 실효성 미지수

양주지역 로컬푸드사업 정상화를 위해 준공영제 도입 등이 제시됐으나 시와 지역농협 등은 미온적이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5일 양주시와 지역농협,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로컬푸드사업을 위해 지난 2016년 9월 만송동 1호점에 이어 지난해 2월 회암동 2호점을 개장했다. 1호점에는 임대보금증 1억원과 포장재 수천만원대를 지원했고, 2호점에는 시비 2억300만원과 도비 8천700만원 등으로 인테리어비용을 지원했다.

하지만 이들 점포들은 운영부실 등으로 주주는 물론 농산물 등을 납품한 농민들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지난 3월1일 1호점, 같은달 23일 2호점 등을 각각 폐점했다.

이에 이들 점포에 농산물을 납품한 농민들을 중심으로 대책위를 꾸리고 진상규명과 로컬푸드 정상화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시의회도 행정사무조사를 실시, 경영진의 책임결여 등을 원인으로 결론짓고 지역농협과 농업인단체 및 시가 공동 출자해 경영하는 준공영제를 제시했다.

이희창 시의원은 지난 8일 개회한 제355회 임시회 5분발언을 통해 재차 로컬푸드 정상화를 위해 준공영제 도입, 시 푸드플랜 적극 활용, 공공부문 참여 확대 등을 촉구했다.

하지만 지역농협들은 현재 하나로마트를 운영 중이고 공동출자형식으로 연합미곡처리장을 운영하는 상태에서 참여를 꺼리고 있다.

이희창 의원은 “로컬푸드사업이 정상화되려면 준공영제 도입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농협 관계자는 “하나로마트 농산물코너 운영에도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로컬푸드사업 참여는 쉽지 않다”고 난색을 보였다.

시 관계자는 “로컬푸드사업 정상화를 위해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 만큼 민간과 공동 추진에 대해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다”고 밝혔다.

양주=이종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