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안전운임제 전면 확대"…인천항만공사, 물류 차질 대책 마련

25일 오전 인천 중구 항동7가 인근 화물주차장에서 열린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의 총파업 출정식에서 노조원들이 안전운임제를 요구하며 피켓을 들고 있다. 장용준기자
25일 오전 인천 중구 항동7가 인근 화물주차장에서 열린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의 총파업 출정식에서 노조원들이 안전운임제를 요구하며 피켓을 들고 있다. 장용준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 전면 확대 등을 요구하며 2016년 이후 5년만에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는 25일 오전 10시께 인천 중구 항동7가 인근 화물주차장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안전운임제 전면 확대, 화물노동자의 산재보험 전면적용, 명의신탁제(지입제) 폐지, 운송료 인상, 노동기본권 보장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번 파업은 오는 27일까지 3일간 지속한다.

화물연대의 핵심 요구사항인 안전운임제는 화물차의 과속, 과로, 과적 운행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운임을 보장해주는 제도다. 지난해 3년 시효를 두고 도입해 내년이면 폐지한다.

화물연대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안전운임제를 연장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정부는 화주들의 비용부담 등을 이유로 화물연대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이번 총파업은 현장의 불합리한 구조를 바꿔 화물노동자의 생명과 국민의 생명을 지키자는 투쟁”이라며 “우리의 요구를 반드시 관철시키겠다”고 했다.

이날 화물연대 인천본부가 총파업에 나서면서 인천항만공사(IPA)도 대책마련에 나섰다.

IPA는 인천의 경우 파업 참여율이 높지 않아 물류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일부 운송 과정에서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고 임시 컨테이너 장치장을 마련했다. IPA는 인천신항 배후단지 등에 3만2천929TEU 분량(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의 컨테이너를 보관할 수 있는 40만8천868㎡ 면적의 임시 컨테이너 장치장 5곳을 확보했다. 또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세관 등과 비상 협력체제를 구축해둔 상태다.

IPA 관계자는 “임시 컨테이너 장치장과 화물 출입구를 늘려 물류 운송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루비·최종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