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사업 관련 부천구간이 지하차도로 통과하면서 부천IC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돼 ‘부천 시민 패싱’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부천시에 따르면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사업이 최근 국토교통부 투자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서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여부가 결정된다.
해당 사업은 남청라IC~서인천IC~신월IC를 연장해, 19.3㎞를 지하차도로 건설하는 공사로 총사업비는 2조41억원이다. 오는 2028년 개통을 목표로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 등이 추진 중이다.
시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에 따른 부천구간 상부 공간 활용을 위해 지난 11월19일 경인고속도로 상부도로 활용방안 기본구상 용역수립을 위한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시는 이날 보고회에서 경인고속도로 부천구간(길이 5.8㎞, 남·북 측 200m)에 ▲지하화 이후 상부 공간 도로 기능 변경 및 주변 지역 개발정책 정립 등 종합 청사진 마련 ▲상부 공간과 주변 지역 개발사업 연계 및 지역 간 단절 해소를 위한 교통망 체계 개선 ▲향후 정책반영 및 국토교통부 등 대외업무 협의 시 선제적 대응 전략 마련 ▲개발사업 발굴 및 방향 설정, 개발계획 로드맵 수립을 위한 기본구상 등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해당 사업계획에 부천구간이 지하차도로 통과하면서 부천IC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돼 부천 시민은 서운분기점이나 상부 일반도로를 이용, 신월IC까지 이용해야 하는 등 불편이 우려된다.
시민 A씨(50ㆍ부천시 춘의동)는 “부천 시민이 이용하지도 못하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사업은 ‘빛 좋은 개살구’가 아니냐”며 “상부 공간을 일반도로화할 경우 기존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이 몰려 부천구간은 교통불편이 불 보듯 뻔해 지하차도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부천시의회 김성용 의원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로 부천구간이 지하차도로 통과되면 상부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도 중요하지만, 부천IC가 없어져 부천 시민이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없다면 불편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천구간 중간에 지하차도로 진·출입할 수 있는 램프 신설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천시 관계자는 “국토교통부에서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결정된 게 없다. 다만 부천IC가 없어질 경우에 대비, 대안 마련 등을 고민 중이다. 상부공간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향후 정책적으로 선제 대응하기 위해 이번에 용역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부천=김종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