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고기 식용’을 종식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만들어진 사회적 논의기구(경기일보 11월26일자 1면)가 첫발을 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9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개 식용 문제 논의를 위한 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1차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위원장은 정광호 서울대 행정대학원장이 맡고, 총괄 및 간사 역할은 농식품부가 맡기로 했다. 이 밖에도 국무조정실ㆍ환경부ㆍ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하며, 개 식용 반대를 주장해 온 시민단체들도 각각 연대체 구성을 통해 분과별 논의에 함께한다. 위원 수는 총 21명이다.
앞서 본보는 사회적 흐름이 ‘개고기 식용 반대’로 기울었음에도, 불법 도살 등 행태가 법 테두리 밖에서 끊임없이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크게 늘어나며 동물학대 등 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진 것이 ‘개고기 식용 반대’ 여론 형성에 주효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이제 개 식용 금지를 신중하게 검토할 때가 되지 않았느냐”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고, 이번 논의기구 출범으로 그 첫걸음을 뗀 것이다.
위원회는 이날 ▲위원회 운영 규정 ▲개 식용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식용 개 사육ㆍ유통에 대한 실태조사 등 3개 안건을 놓고 토의했다.
우선 내년 4월까지 위원회를 운영하되, 그 기간은 의결을 통해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회의는 월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며 필요하면 수시로 열 수 있다. 이와 함께 개 식용 종식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을 위해 이달 중 19세 이상 전국 성인 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키로 했다. 아울러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관계 부처 합동으로 개 사육과 유통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대상은 사육농장과 도살장, 상인ㆍ식당 등으로 관할 지자체 공무원이 직접 현장을 찾아 조사할 방침이다.
정광호 위원장은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충분한 논의를 거쳐 개 식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대안을 도출하겠다”며 “위원들은 개 식용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되, 종식을 위한 지혜를 모아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다음 2차 회의는 오는 20일 열릴 예정이다.
장희준ㆍ김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