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코로나19 확진자 방역망 관리 한계치…확진자 13%만 방역망 내 예측·관리

인천의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중 방역망에서 예측·관리 가능한 인원이 고작 13명에 불과하는 등 방역 당국의 감염병 관리가 한계치에 다다랐다. 이처럼 방역망을 벗어난 ‘숨은 감염자’들은 시민의 일상생활에서 무차별적으로 코로나19를 확산시키고 있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인천의 ‘방역망 내 관리비율’은 13.31%에 그치고 있다. 지난달 발생한 총 5천455명의 확진자 중 고작 726명만 자가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방역망 내 관리비율은 전체 확진자에서 자가격리 중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의 비중이다. 즉 방역 당국이 확진자 100명 중 13명에 대해서만 감염 가능성을 미리 인지했다는 의미다.

반대로 나머지 4천729명(87%)은 방역 당국이 감염 가능성을 예상하지 못하는 등 방역망 밖에 있던 셈이다. 방역망 밖의 확진자 증가는 지역 사회로의 대규모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일상 감염이 늘어나고 숨은 감염자들이 속출하면 감염경로를 모르는 ‘깜깜이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같은 경로로 인한 코로나19 확산은 방역 당국의 역학조사 업무를 가중시키고, 또다시 깜깜이 확진자를 양산하는 등 악순환을 반복할 우려가 매우 크다.

김경우 인제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확진자의 접촉자들을 음성상태에서 격리해야 만약 양성으로 바뀌더라도 추가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역학조사도 용이하다”고 했다.

현재 인천의 방역망 내 관리비율이 낮은 것은 확진자 수 급증의 영향을 받고 있다. 시 소속 역학조사관이 10명에 불과하다 보니, 최근 확진자 급증으로 역학조사가 사실상 한계치에 내몰린 상태이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7월 확진자 수가 2천346명이었을 때의 방역망 내 관리비율은 37.68%에 달했다. 확진자 10명 중 4명은 충분히 예측·관리가 가능했던 것이다. 하지만 확진자 수가 3천539명이던 10월엔 16.45%, 5천455명인 지난달에는 13.31%로 곤두박질 치기도 했다. 이달에는 이날 기준 확진자 수만 8천302명에 달해 방역망 내 관리비율은 1자릿수로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 이미 확진자 중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비율은 지난달 20%대에서 30%대를 넘어선 상태다.

이에 따라 방역관리망을 강화해 감염자를 빠르게 추적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 정부 방역의 핵심 전략이 검사(Test)와 추적(Trace), 치료(Treat)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만큼 방역망 내 관리비율 감소는 추적 기능 저하로 이어져 연계 효과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최근 오미크론 등으로 코로나19의 전파력이 높아져 빠른 감염이 이뤄지기 때문에 역학 추적이 속도를 내야 확진자가 줄어든다”고 했다. 이어 “역학대응인력을 늘리거나 QR코드 등을 활용한 자동추적시스템 등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역학조사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했다.

한편, 이날 인천에선 중구의 한 선교시설에서의 집단 감염과 확진자 접촉에 의한 산발적 감염 영향으로 총 384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또 4명의 확진자가 사망해 누적 사망자는 222명으로 늘어났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