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정신질환자 ‘뺑뺑이’ 그만…道ㆍ자치경찰, 전담 병상 확보

경기남부경찰청
경기남부경찰청

응급 정신질환자의 수용 병상을 찾지 못해 일선 경찰과 구급대원 등이 ‘뺑뺑이’를 돌던 문제(경기일보 2020년 1월23일자 7면)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와 자치경찰이 대책을 마련했다.

26일 경기남부 자치경찰위원회(이하 자치경찰)에 따르면 도 정신건강과와 자치경찰은 정신질환자 응급대응체계 개선사업을 추진, 50병상을 운용 중인 새로운경기도립정신병원을 정신질환자 응급입원 전담병원으로 지정했다. 응급 정신질환자의 입원을 위해 전담병원을 지정한 건 전국에서 처음이다.

응급 정신질환자 이송은 일선 현장에서 오랜 시간 어려움을 호소했던 사안이다. 예컨대 자해를 시도한 경우 외상 진료과 정신과적 치료가 병행돼야 하는데 외과병원에서는 ‘정신병동이 없다’는 이유로, 정신병원에서는 ‘외상 치료가 불가하다’는 이유로 응급 정신질환자의 입원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경찰이나 구급대원 등은 환자를 태운 채로 길게는 수시간씩 병원을 찾아 ‘뺑뺑이’를 돌아야 했고, 이는 곧 치안ㆍ구급공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환자의 귀가 여부를 최종 판단해야 하는 경찰 입장에선 전문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상당한 부담을 느껴야 했다.

실제로 지난해 경기남부권 응급입원 건수는 690건으로,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이는 인접한 서울 전역의 664건보다 많은 수치다. 또 신고 처리에는 건당 평균 6시간씩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청
경기도청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와 자치경찰, 경기남부경찰청은 응급입원 인프라 확충 방안을 고심해왔다.

먼저 정신과적 응급환자들의 24시간 입원을 목적으로 지난해 6월 문을 연 새로운경기도립정신병원을 전담병원으로 지정ㆍ운영하고,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이유로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을 거쳐야만 했던 절차적 어려움까지 해소하기 위해 음압병상을 신설하고 있다. 내년 1월 중순부터 본격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밖에도 도와 자치경찰은 안산권ㆍ의왕권에 민간ㆍ공공병상을 2개씩 추가 확보했으며, 현재 수원과 평택에서 각각 운영 중인 응급개입팀을 내년 상반기 중 부천오정경찰서 내에 추가 신설한다. 응급개입팀은 정신건강 전문요원 등으로 구성되며, 상황 발생 시 경찰과 현장에 함께 출동해서 대응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강구 경기남부청 직장협의회장은 “경청과 협력이라는 취지를 살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준 경기도와 경기남부 자치경찰위원회에 감사를 표한다”며 “앞으로도 도민의 치안복지를 구현하기 위해 지속적이며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기남부 자치경찰위원회 관계자는 “응급 정신질환자 입원 문제는 현장 경찰들이 가장 어려움을 호소했던 사안 중 하나”라며 “경기도와 유기적으로 협업한 덕분에 문제 해결의 첫걸음을 뗄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도민의 안전을 위해 자치경찰이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겠다”고 설명했다.

장희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