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외면받는 인천지역 특성화고

‘교육의 질·취업률’ 낮아… 특성화고 70% 정원 미달

인천지역 특성화고등학교가 옛 실업계고등학교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특성화고의 직업교육은 급박하게 변화하는 산업구조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학생·학부모들은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특성화고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인천시교육청과 지역 내 특성화고 등에 따르면 인천에는 특정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하는 특성화고 27곳이 있다. 우수한 기술·기능인재를 키우고, 좋은 일자리로 취업을 지원 하는 곳이다.

그러나 여전히 학생·학부모들이 특성화고를 외면하고 있다. 직업교육의 본래 목적인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 특성화고의 취업률은 지난 2017년 48.03%였지만 2018년 37.83%, 2019년 30.43%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도 30%대에 머물고 있다.

또 특성화고를 졸업해도 대기업이나 공기업 취업은 극소수이고 대부분 영세 제조업체 등에 취업하기에 질이 낮은 일자리로 인해 학생들의 취업률은 낮아진다. 이는 다시 학생·학부모가 특성화고를 외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한 특성화고 교사 A씨는 “전교에서 2~3명만 대기업이나 공기업에 취업하고, 대부분 영세 제조업체에 들어가는데 누가 특성화고를 선택하겠느냐”고 했다. 이어 “여전히 ‘공부하기 싫은 아이들이 가는 학교’라는 낙인이 찍혀있다”며 “이미 직업교육 본래 목적은 퇴색한지 오래”라고 했다.

특히 특성화고에 들어와 직업교육을 받고도 뒤늦게 대학에 가겠다는 ‘대학 진학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점도 취업률 하락을 부추긴다. 대학에 진학하면 미취업자에 들어간다.

시교육청이 지난 2019년 인천 특성화고 중장기 혁신방안 연구를 통해 지역 내 특성화고 학생 2천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졸업후 진로에 대해 묻는 질문에 1천44명(52%)이 진학을 선택하거나, 취업과 진학을 함께 병행하겠다고 답했다. 이들이 진학을 선택한 이유는 ‘고졸과 대졸간의 차별(임금·승진)’이나 ‘학력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라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이 때문에 특성화고는 올해 정시 모집 결과 27곳 중 19곳(70.3%)이 정원에 미달했다. 문학정보고등학교는 170명을 모집했지만 고작 33명(19.4%)만 지원했고, 인천소방고등학교도 170명 모집에 104명(61.1%)이 지원했다. 이들 학교 대부분 오는 16~17일 추가모집을 하지만, 이마저도 실패하면 정원을 줄여야 한다.

이 같은 특성화고 진학 기피 문제를 해결하려면 학과개편 등을 통해 직업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시교육청은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학과개편을 하면 교사들이 새로운 전공 과목을 가르칠 수 있도록 산업체 현장 직무 연수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고작 1~2개월짜리 교육이다보니 교사가 전문성을 갖출 수 없는 상태다. 학교 현장에서는 산업 전문가를 초빙한 교사 채용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예산 문제 등을 이유로 손을 놓고 있다.

앞서 시교육청이 지난해 인천바이오과학고·인천소방고·인천금융고·인천재능고·영종국제물류고·인천전자마이스터고 등을 학과개편 및 학교명 변경을 추진했다. 지난 5년간 이 같은 학과개편 및 학교명 변경이 26곳에 달한다. 하지만 소방고·금융고·재능고 등은 올해에도 정원모집에 실패하는 등 학생·학부모의 특성화고 기피는 여전하다.

허영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박사는 “학과개편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 아니다”고 했다. 이어 “시설 투자를 통한 좋은 교육을 받은 특성화고 학생이 능력을 키워 좋은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직업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학교별 전공 교사를 교환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었다”며 “학과개편 역시 지역특색산업인 항공·소방·바이오 위주로 끌고 나가려고 한다”고 했다. 이어 “특성화고 기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자체와 기업과 함께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지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