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도시개발사업’이 제2의 대장동 사태가 될 수 있다는 일각의 의혹에 전면 반박했다.
18일 용인시에 따르면 경기용인 플랫폼시티는 지난 2015년 4월부터 ‘2035 용인도시기본계획 변경 수립 용역’에 착수, 대규모 ‘공공개발사업’으로 추진해 지난해 12월부터 보상계획을 공고했다. 경기도와 용인시, 경기주택도시공사(GH), 용인도시공사가 100% 참여한다.
이런 가운데 이날 용인플랫폼시티포럼은 용인시청에서 용인플랫폼시티 시민환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총사업비의 95%를 출자한 GH가 개발이익금의 95%를 가져간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시는 해당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며 즉각 대응에 나섰다. 지난 2018년 9월 GH가 시에 사업참여를 제안하면서 개발이익금을 용인시에 재투자하기로 약속했다는 것이다. 개발이익금은 조성원가 산정 이후 분양을 통해 얻은 초과 수익이다. 다만 개발이익금 발생 시점은 사업 준공시기인 오는 2029년 상반기로, 현재 공동사업시행자인 GH와 용인도시공사간 긴밀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시는 원주민 재정착률을 높이고, 토지소유자에게도 개발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이주대책 수립 외에도 대토보상 등을 통해 주상복합용지, 상업용지 등으로 토지를 재공급할 방침이다.
백군기 용인시장은 “플랫폼시티의 사업구조는 광교신도시와 유사하며 판교 이상의 신도시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GH가 개발이익금을 용인시에 재투자하기로 약속한 만큼 플랫폼시티를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용인의 새로운 경제도심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