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지역에서 원인 모를 악취로 잇따라 민원이 접수된 가운데 수원특례시가 냄새의 근원지를 수원공공하수처리장으로 추정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수원특례시는 종합 대책을 수립하겠다는 방침이다.
20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하 공단)은 전날 영통구청 대회의실에서 망포동을 비롯해 화성시 화산·진안·병점동 등에 대한 악취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지난 2019년 90건, 2020년 141건, 지난해 76건 등 망포동에서 이와 관련한 민원이 끊이질 않자 공단은 수원특례시의 의뢰로 지난해 1월부터 1년간 이들 지역뿐만 아니라 수원공공하수리장(화성시 송산동 소재)과 이곳 내 하수슬러지건조시설 등에 대해 현장 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그 결과, 하수가 지나가는 수도관에서 냄새가 나는 것으로 드러난 만큼 근원지는 수원공공하수처리장으로 추정됐다.
더욱이 ‘악취확산 모델링’ 결과 이 시설에서 풍기는 냄새가 4~5㎞ 떨어진 망포동까지 퍼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공단이 악취의 원인을 처음 추정하면서 수원특례시는 개선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그동안 하수관리과의 수원공공하수처리장의 시설 개선 사업(경기일보 지난 14일자 6면) 등 부서별로 별도로 이뤄졌던 악취 저감 대책을 환경정책과가 종합적으로 관리,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수원특례시 관계자는 “주민설명회를 열어 이번 결과를 공유하고 망포2동행정복지센터에 설치한 무인악취포집장치를 통해 자료를 축적하고 있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외에도 화성시 소재 소규모 공장 7곳에서 악취가 나는 것으로 추정됐다.
수원특례시는 지난 2020년 경기환경지원센터와 망포동 일원에서 악취 물질·실태를 조사했으나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한 바 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