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사한 봄기운을 느끼며 거리를 걷다보면 지방선거 예비후보자들로부터 극진한 인사(?)를 받게 된다. 90도로 고개 숙여 인사하며 저마다 지역을 위한 일꾼이 되겠다고 명함을 건넨다. 오는 6월1일 치러질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역자치단체장과 시·도교육감,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에 출마하려는 예비후보들이 봄의 새싹처럼 여기저기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예비후보들이 유권자들에게 얼굴을 알리기 위해 경쟁하듯 이른 새벽부터 밤 늦은 시간까지 발품을 팔고 있다. 이들 모두 지역을 위해 일할 일꾼과 머슴을 자처하며 표심(票心)을 얻기 위한 구애를 한다. 지난 대통령선거로 인해 출마를 저울질 하다가 보수의 승리, 진보의 석패에 힘을 얻어 출마하는 후보들이 상당수다.
예비후보들 대부분은 자신의 당선을 낙관하거나, 간혹 다음 선거를 겨냥해 이름을 알리기 위해 출마를 하는 경우도 있다. 출마자들이 건네는 명함에는 자신들의 학력과 경력 등 다양한 이력이 담겨져 있다. 또한 명함에는 ‘유능한 OOO’, ‘참신한 OOO’, ‘OO 전문가’ 등 참신성과 전문성, 능력을 강조하며 표심에 호소하고 있다. 저마다 ‘머슴’과 ‘일꾼’을 자처한다.
자치단체장이나 교육감, 지방의원 모두 지역발전을 위해 일할 일꾼을 뽑는 것이 옳다. 그러나 지난 1991년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기치로 부활된 지방의회와 1995년 본격 막을 올린 지방자치제 하에서 과연 누가 얼마나 주민의 대변자이자 일꾼으로, 머슴으로 역할을 했는지 생각해볼 시점이다. 대다수 선출직 단체장과 의원들이 지역발전을 위해 일해왔지만, 일부는 자질 부족과 비리 연루, 갑질 등으로 주민들에게 신뢰감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여전하다.
다가오는 동시 지방선거를 앞두고 출마자들에게 묻고 싶다. 진정으로 주민을 위한 일꾼과 머슴이 되기 위함인지, 권력을 좇기 위해 머슴을 자처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무릇 공직에 몸을 담아 주민을 위해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사심이 없이 위민(爲民)의 마음 하나만 가져야 한다. 개인의 권력욕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 선거를 이용돼서는 안된다.
따라서 6·1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사람들은 말로만이 아닌 진정으로 지역발전과 주민을 위한 머슴이나 일꾼이 돼야 한다. 당선된 후 초심을 잃어서는 안된다. 유권자들 역시 학연·지연에 얽힌 사사로운 정에 이끌리기 보다는 진정 지역발전을 위해 일할 사람을 뽑아야 한다. 권력을 갖기 위해 머슴 행세를 하는 사람은 유권자들의 손으로 심판해야 한다.
조윤혜 남서울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